해외 귀국자 또는 확진자의 밀접 접촉자를 대상으로 이뤄지는 ‘14일간 자가격리 후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전파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천대 길병원 예방의학과 고광필 교수, 인공지능 빅데이터센터 정재훈 교수팀은 인천광역시 감염병지원단,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최근 인천시에서 자가격리된 1만9000여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자가 격리 해제 전 코로나19 PCR 검사의 결과를 분석한 연구를 통해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20년 2월 11일~7월 5일 해외 귀국자 또는 확진자의 밀접접촉자 1만9296명를 대상으로 이뤄진 14일간의 자가격리 해제 후 의무적으로 시행된 PCR검사 결과를 분석해 이뤄졌다. 대상자의 격리 장소는 거주자의 집이나 정부가 지정한 장소였다.
연구결과, 자가 격리자 중 총 56명이 코로나19 확진을 받았다. 그 가운데 20명은 증상보고를 통한 검사로 확진됐고 나머지 36명은 격리 해제 시점에서 의무적으로 시행된 PCR검사에서 확진됐다.
격리 해제전 의무 시행된 PCR검사에서 확진된 36명 가운데 14명은 경증, 18명은 무증상을 보였다. 특히 자가격리가 해제된 사람 중 2명은 처음 결과에서 음성으로 나타났지만, 이후 증상이 보고돼 양성 판정을 받았다. 다른 2명은 자가격리된 가족(56명 중 20명에 포함)의 양성 판정으로 역시 자가격리 기간 중 검사를 받아 양성으로 나타난 것이다.
즉 14일간 자가격리 후 PCR 검사는 격리해제 후 타인에게 감염시킬 수 있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무엇보다 무증상자도 18명이나 확진으로 판정된 만큼, 밀접 접촉자의 자가격리 해제 전 PCR 검사는 코로나19 확산 예방에 효과적임이 확인됐다.
고광필 교수는 “14일간의 격리기간은 잠복기 후 증상이 발현되기에 충분한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해제 전 반드시 PCR 검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며 “또 잠복기가 더욱 긴 감염자의 경우 14일간의 격리가 끝난 후에도 양성으로 판정받는 만큼 자가격리 해제자를 대상으로 증상 기반 감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천은 전국에서 가장 먼저 14일 간의 자가격리 해제 조건으로 필수 PCR 진단 테스트를 받도록 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잠복기가 최대 19일에 이르는 것으로 연구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 영문학술지(JKMS)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