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의료계 문제 코로나19 안정 후 협의가능해”

입력 2020-08-31 15:46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해 휴진 등 집단행동을 이어가는 의료계를 향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된 후 협의하자“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코로나19 상황이 안정된 후 정부가 약속한 협의체와 국회가 제안한 협의기구 등을 통해 의료서비스의 지역 불균형 해소, 필수 의료 강화, 공공의료 확충과 함께 의료계가 제기하는 문제를 협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의사들이 현장으로 돌아오는데 그 이상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의사가 있어야 할 곳은 환자 곁”이라고 강조했다.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첫 번째로 생각하겠노라는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정부의 업무 복귀 명령에도 의료계 진료거부가 이어지고 있는 것과 관련 “정부도 선택지가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불법적 진료 거부에 대해서 법적 대응을 하겠다는 취지다.

문 대통령은 “지금처럼 국민에게 의사가 필요한 때가 없다. 이 엄중한 국면에 의료계가 집단적 진료 거부를 중단하지 않아 대단히 유감”이라면서 “코로나 상황이 급박해 시간이 많지 않고, 국민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법을 집행하는 정부도 선택지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루속히 업무에 복귀해 환자들을 돌보고 국민 불안을 종식시키는 의료계의 대승적 결단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