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의 ‘권력분산’ 실험…포스트심상정 결과는

입력 2020-08-31 06:00

정의당이 30일 당대표의 권한을 분산하는 내용의 혁신안을 제9차 정기당대회에서 통과시키며 체질 개선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의당은 9월 중 당원 총투표를 통해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한다.

조혜민 정의당 대변인은 “정의당은 9월 중 지도부를 포함해 모든 선출직 당직자에 관한 조기 동시당직선거를 실시하기로 결정했다”며 “차기 6기 대표단은 당 대표 1인과 원내대표 1인, 부대표 5인, 청년정의당 창당준비위원장 1인으로 하는 체제로 개편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당대회의 핵심은 ‘권력분산형’ 지도체제 개편이다. 정의당은 기존 3인이던 선출직 부대표를 5인으로 늘렸다. 당대표가 가지고 있던 전국위원회 소집 및 안건제출 권한도 협의기구인 대표단 회의에 넘겼다. 또한 당대표의 전국위원·대의원 추천권한을 폐지했다. 정의당은 청년들이 직접 운영하는 청년정의당을 구성하고, 당원 300명이 동의하는 사안에 대해 국회의원이 입법을 추진하도록 하는 ‘당원 입법 청원’ 시스템 도입도 결정했다.

이같은 움직임은 정의당이 ‘민주당 2중대’ 프레임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길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정의당은 결의문에서 “우리가 직시해야 할 균열은 조국 논란, 검찰개혁, 위성 정당 사태, 서울시장 조문 논란보다 더 깊은 곳에 있는 문”라며 “플랫폼 노동과 새 노동체제, 세습 자본주의와 사회갈등 등의 문제를 마주하는 새로운 상상력과 실천으로 우리의 길을 가겠다”고 선언했다.

정의당은 9월 중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되는 선거에서 당 대표와 부대표 5명 등 새 지도부를 선출할 예정이다. 심상정 대표는 지난해 7월 임기 2년의 당 대표로 선출됐으나, 임기를 1년 단축해 사퇴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차기 당대표 후보로는 배진교 원내대표, 김종민 부대표, 김종철 선임대변인, 박창진 갑질근절특별위원장 등이 거론된다. 부대표 권한이 확대되는 만큼 부대표 선거도 주목된다.

새 지도부는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 사이에서 진보정당의 존재감을 증명하고 당 내부 갈등을 봉합해야 하는 중책을 맡게 된다. 정의당은 지난 총선에서 지역구 후보들에게 지원한 선거 비용이 모두 빚으로 남아 현재 부채 규모가 40억원 수준에 이른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 조문 논란, 비례위성정당 불참 논란 등을 거치며 올해 탈당한 당원도 60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