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와대 민정수석실 산하 공직감찰반도 이와 관련한 첩보를 입수해 사실관계를 확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공직감찰반은 관련 부처 감사관실에 이를 이첩할 계획이다. 인사 청탁 의혹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경영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논란이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2019년 공공기관 경영평가단 간부 A교수는 경영평가가 진행 중이던 3~4월 B공공기관의 기관장을 만난 자리에서 직접 특정 인사에 대한 ‘선처’를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인사는 A교수의 지인으로 이 기관에서 임원 승진을 앞둔 간부였다.
당시 그 자리에는 해당 인사도 참석했다고 한다. 당시 B기관 기관장은 A교수의 말을 듣고 주변에 고충을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A교수의 지인은 현재까진 B기관 임원급 인사에서 승진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청와대 민정수석실 산하 공직감찰반은 최근 이 의혹과 관련한 첩보를 입수하고, 사실관계를 일부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감찰반은 이를 조만간 해당 부처 감찰부서로 이첩할 계획이다. 사실 여부에 따라 사정 당국의 수사가 진행될 수도 있다.
A교수는 이에 대해 “B기관장과 지인을 함께 만난 자리에서 ‘아는 분이어서 관심을 가져달라’고 인사차 덕담을 나눈 게 전부”라며 “‘좋은 자리 있으면 보내달라’는 식의 농담으로 한 말”이라고 말했다. 이어 “B기관장은 그때 처음 본 사이다. 그 지인도 10년 만에 본 것으로 인사 청탁은 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그는 “가까운 사람이 있으면 ‘이 사람을 잘 좀 봐달라’는 덕담은 할 수 있지 않느냐”며 “무슨 자리를 달라는 얘기는 할 수가 없는 일”이라고 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단의 고위인사는 공공기관 평가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평가단 간부들은 산하 평가위원들을 관리하며 경영평가 최종등급을 산정하는 데 깊이 관여한다. 기재부를 설득하고 평가위원들을 움직여 개별평가 지표에 대한 평정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도 많다.
평가에 따라 공공기관은 최대 수천만원에 달하는 성과급을 차등지급받는다. D(미흡) 등급 이하를 받은 기관의 기관장들은 해임 건의까지 당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공기관들은 높은 평가 점수를 받기 위해 경영평가에 사활을 건다. 일부 기관은 매년 최대 수십명의 전담팀을 동원한다.
B기관 측은 “A교수를 만난 적은 있지만 청탁을 받은 기억은 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올해 경영평가에 참여한 한 교수는 “경영평가를 받는 공공기관이 모종의 청탁을 받았다고 인정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며 “평가단에 찍히면 앞으로 평가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문동성 박재현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