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일부터 ‘집단휴진 피해 신고·지원센터’ 운영

입력 2020-08-30 17:22
전국 의사 총파업에 동참해 피켓시위를 하는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 전공의들. 연합뉴스

전공의들이 무기한 집단휴진을 이어가기로 결정하자 정부가 환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집단휴진 피해 신고·지원센터’를 운영키로 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30일 회의에서 의사단체 집단휴진 대응 방안을 논의한 뒤 “집단 휴진으로 피해를 본 환자들을 위한 집단휴진 피해 신고·지원센터를 31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등 정부의 주요 보건의료 정책에 반발하는 의료계가 무기한 집단휴진을 강행해 진료 공백 우려가 커지자 환자 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마련된 조치 중 하나다.

집단휴진 피해 신고·지원센터는 31일부터 의료계 휴진 사태가 종료될 때까지 운영된다. 정부와 환자단체연합회·대한법률구조공단 등 공공기관 합동으로 운영한다. 진료 연기나 수술 취소 등에 따른 피해를 접수하고, 대체할 수 있는 의료기관 정보 등을 제공한다. 집단휴진으로 피해가 발생했을 때 대응 관련한 법률 상담도 받을 수 있다.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콜센터(☎ 02-6210-0280~1)에 문의하면 된다.

전공의 및 전임의 대상으로 즉시 진료 현장으로 복귀할 것을 명하는 전국 단위의 ‘업무개시명령’이 내려진 만큼 정부는 현장 의료진 휴진 및 복귀 여부도 점검하고 있다.

지난 26~27일 수도권 수련병원 20곳을 조사한 데 이어 31일까지 수도권 10곳과 비수도권 10곳의 수련병원을 방문해 의료진 업무 복귀 여부를 확인 중이다. 아울러 31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비수도권 지역 수련병원 10곳도 현장 조사를 할 방침이다. 정당한 이유 없이 업무개시 명령을 따르지 않은 의료진을 추가 고발할 계획이다.

중대본 관계자는 “정부는 의료계 집단휴진 강행과 관련해 불법 행위에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히 대응하는 한편, 국민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