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역서 ‘신고가’ ‘급매물’ 다시 혼란에 빠진 부동산시장

입력 2020-08-30 17:14
정부 규제로 거래가 위축된 가운데 서울 곳곳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은 정부가 6·17 대책을 보완하기 위한 추가 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둔 지난달 서울 송파구 부동산 밀집 지역에 부동산 매물을 알리는 안내문이 붙은 모습. 권현구 기자

정부 규제의 영향으로 매물이 급격히 줄어든 가운데 서울 아파트 단지 곳곳에서 신고가 거래가 속출하고 있다. 부동산 규제가 겹겹이 강화하면서 시장이 서울의 ‘똘똘한 한 채’를 선호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코로나19 사태로 거래가 줄어든 상황에서 신고가와 급매물이 시장가격을 왜곡시켰던 상반기의 혼란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30일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 조회에 따르면 서울 노원구 신동아아파트 101.94㎡(전용면적)는 지난 1일 10억7500만원에 거래됐다. 같은 면적이 지난 2월에는 9억6000만원, 3월에는 9억1000만원에 거래된 점을 감안하면 1억원 이상 가격이 올라 신고가를 기록했다.

서울 강남지역도 신고가가 이어졌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지난 6일 101㎡(8층)가 22억2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개포주공 5단지 61.19㎡도 지난 8일 19억원에 거래됐다. 지난달 18억원에 거래된 것에 비하면 1억원 올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이런 신고가 열풍은 최근 부동산 시장의 다소 얼어붙은 분위기와는 다소 대조된다.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서울시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145건이었다. 신고기한이 계약일로부터 30일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아직 미신고 물량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부 규제가 강화되면서 지난달 1만616건에 비하면 거래가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거래량이 감소하는 것을 시장 안정 신호로 인식하고 있다.

정부 규제로 다주택자들이 주택을 매도하는 대신 증여나 지방 주택을 처분하면서 서울의 이른바 ‘똘똘한 한 채’의 가격이 오르는 상황이다. 김인만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정부가 양도세를 올리면서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내놓기 어려워졌는데, 이들이 지방 주택을 매도하거나 친족에게 증여하는 식으로 버티면서 똘똘한 한 채의 가치가 오르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구매력이 있지만, 시장을 관망했던 무주택자들이 강남 주택을 사들이거나 신혼부부들이 여건에 따라 서울 외곽 지역을 일부 사들여도 신고가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신고가와 급매물 등 시장 왜곡 현상이 겹치면 부동산 시장에 큰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서진형 경인여대 경영학과 교수(대한부동산학회장)는 “공급대책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내 집 마련에 나선 실수요자들의 영향으로 가격이 뛴 것”이라며 “일부에선 거래가 줄어든 ‘초거래절벽상태’를 시장 안정으로 보는데 통계 모수가 적은 상태에서 이런 판단을 내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소장도 “거래량이 뒷받침되지 않는 상황에서 신고가만 계속 발생하는 것은 시장을 왜곡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