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대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20억원을 넘어섰다. 정부가 곧 부동산 대책의 효과가 나타난다고 단언하고 있는 가운데 실제로 아파트 값이 잡히기는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28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8월 서울의 대형 아파트(전용면적 135㎡·41평 초과) 평균 매매가격은 20억2692만원으로 집계됐다. 처음으로 20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6년 1월 이후 최고가다. 1년 전(18억5538만원)과 비교하면 9.2%(1억7154만원) 올랐다. 2년 전보다는 16.7%(2억9050만원)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강북 지역(한강 이북 14개구)의 대형 아파트 평균 매맷값이 15억1213만원으로 집계돼 이달 처음으로 15억원을 넘겼다. 4년 전 이미 15억원 선을 넘은 강남 지역(한강 이남 11개구)의 평균 매맷값은 21억8988만원으로 조사돼 강남·북 간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지역에서는 초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강남·서초·송파구의 대형 아파트들이 평균 매맷값을 끌어올렸다. 강남구 압구정동 미성 2차 140.9㎡(전용면적)는 지난해 4월 25억원(17층)에 매매됐던 것이 이달 11일에는 30억5000만원(8층)에 거래돼 1년 4개월 만에 5억5000만원이 올랐다.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145.05㎡는 지난해 6월 32억∼35억원에 거래된 뒤 이달 10일 39억원(39층)에 매매 계약서를 써 1년 2개월 만에 4억∼7억원이 올랐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135.92㎡는 지난달 5일 41억원(22층)에 매매가 이뤄져 지난해 6월(36억원·8층)보다 5억원, 2년 전인 2018년 8월(33억원·22층)보다는 8억원이 뛰었다.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3차 235.74㎡는 지난달 25일 54억2500만원(67층)에 매매되면서 올해 7∼8월에 거래된 아파트 가운데 최고가를 기록했다.
고가 아파트의 대명사로 불렸던 성동구 갤러리아포레의 경우 170.98㎡가 지난달 29일 32억4000만원(16층)에, 195.2㎡가 이달 1일 36억9000만원(13층)에 각각 매매됐다. 신흥 고가 아파트로 떠오른 트리마제 136.56㎡는 지난달 26일 40억5000만원(44층)에 거래를 마쳤다.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235.31㎡는 지난달 17일 53억원(8층)에 계약서를 써 7∼8월 강북 지역 거래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