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올라왔다가 비공개 처리돼 논란을 빚은 국민청원 ‘시무 7조 상소문’이 27일 오후 다시 공개됐다.
앞서 지난 12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진인(塵人) 조은산이 시무(時務) 7조를 주청하는 상소문을 올리니 삼가 굽어살펴주시옵소서’라는 글이 올라왔다.
조선 시대 상소문 형식으로 작성된 글에는 자신을 ‘조은산’이라고 밝힌 청원인이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세금, 인사 문제를 꼬집었다.
청원인은 “어느 대신은 집값이 11억원이 오른 곳도 허다하거늘 현 시세 11%가 올랐다는 미친 소리를 지껄이고 있으며 어느 대신은 수도 한양이 천박하니 세종으로 천도를 해야 한다는 해괴한 말로 백성들의 기세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고 적었다.
그러나 이 청원 글은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는 공개처리가 돼 있지 않아 검색 기능으로도 글을 찾아볼 수 없었다. 또 추천순으로 게시글을 소개한 곳에서도 볼 수 없었다. 게시물을 보려면 연결주소(URL)를 직접 입력해야 했다.
접속하면 ‘사전동의 100명 이상이 되어 관리자가 검토 중인 청원이다. 공개까지 시일이 소요될 수 있다’며 ‘청원 요건에 맞지 않는 경우 비공개되거나 일부 숨김 처리될 수 있다’는 안내문이 먼저 떴다.
일각에선 ‘청와대가 불편한 글을 의도적으로 숨긴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청와대는 이날 오전 비공개 처리와 관련해 “일부 언론 보도처럼 청와대가 청원을 숨겼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정상 절차에 따라 글의 공개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라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명예훼손 성격의 청원이나 중복청원 등이 많다는 지적이 제기돼 작년부터 100명 이상의 사전동의를 받은 글만 내부 검토를 거쳐 공개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며 “이번 청원 역시 현재 공개 여부를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청원들도 마찬가지로 공개될 때까지 시간이 걸렸다”며 “거친 표현 등이 많이 담긴 민감한 글일 경우 검토시간이 더 걸릴 수 있으나, 일부러 글을 숨겼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현재 청원 동의 인원은 이날 오후 4시19분 현재 8만7000명을 넘어섰다.
송혜수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