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사이버 범죄 막고 팩트체커 양성한다

입력 2020-08-27 15:40 수정 2020-08-27 16:22
양한열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정책국장이 27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

정부가 분야별 전문 팩트체커를 양성하고 사이버 폭력, 혐오 표현 등 디지털 역기능 예방 교육을 통해 올바른 공동체성 확보에 주력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방식이 사회에 자리하면서 디지털 미디어의 이용이 증가했으나 공동체 해체를 가속하는 허위정보 유포, 사이버 폭력 등 역기능 또한 확산하면서 근원적 대안을 마련한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디지털 미디어 발전의 결과물을 사각지대 없이 온 국민이 누릴 수 있도록 관련 교육을 확대한다는 내용을 담은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을 27일 발표했다. ▲온·오프라인 미디어 교육 인프라 확대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역량 강화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 강화 ▲배려·참여의 디지털 시민성 확산 등 4대 전략과제를 골자로 한다.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정부는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을 강화하면서 국민이 분야별 전문가가 돼 전문 팩트체커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양한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들을 비판적으로 습득·활용할 수 있도록 팩트체크 시민교육을 확대하고, 언론·사회·경제 등 분야별 전문가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심화 교육을 실시한다. 또 국민이 직접 팩트체킹에 참여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을 구축하고 SNS 추천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 교육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 활용 능력을 제고한다.

디지털 공간에서의 정체성 확립, 소통과 사회 참여 등을 위한 윤리 교육도 실시한다. 비대면 시대에 느슨해지기 쉬운 사회적 결속을 다지려는 취지다. 사이버 폭력, 혐오 표현 등 디지털 역기능 예방 프로그램과 올바른 미디어 기기 사용 교육과 공동체 라디오 확산과 지역 공동체의 미디어 참여를 지원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소통을 활성화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측정을 통해 전 국민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중장기적 정책 방향을 수립한다.

온·오프라인의 미디어 교육 인프라를 위해 전국 10개 도시에 분포한 시청자미디어센터 등 미디어 교육 거점 시설의 확대를 추진한다. 또 미디어 교육원을 교원 연수 전문기관으로 육성하고 학교미디어교육센터를 신설하는 등 코로나19 이후 원격수업이 본격화된 교육 현장을 집중 지원한다. 온라인 미디어 교육 플랫폼을 통해 개별적으로 관리되던 정보를 한곳에 모아 공유·개방한다.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 역량도 생애주기별 맞춤형으로 강화한다. 신문, TV 등 전통 매체 중심에서 1인 미디어 등 새로운 매체로 범위를 확장하고 청소년과 성인 중심이었던 타깃은 전 국민으로 넓힌다. 기초 교육 중심이었던 기존 미디어 교육은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세분화한다. 자유학기제·고교학점제 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교 미디어 교육을 확대하고, 농·산·어촌이나 장애인·다문화 가정·학교 밖 청소년 등까지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교육도 병행한다.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비대면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을 전 국민이 갖출 수 있도록 미디어 교육을 확대하고 인프라를 강화하고 누구도 미디어 교육의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히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