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에서 추진 중인 한전공대의 학생 선발 절차에 대한 공정성 논란이 뒤늦게 불거지고 있다.
앞서 보건복지부가 공공보건의료대학(공공의대) 학생 선발 과정에서 시민사회단체가 의견을 낼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불거진 논란이 다른 곳으로 옮겨붙는 양상이다.
지난해 9월 매일경제는 한전공대가 학생 선발에서 자기소개서, 수능성적, 내신 등급을 고려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대신 한전공대는 2~3일 캠프를 열어 프로젝트를 제시하고 해결 과정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인재를 선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런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자 27일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이틀짜리 캠프로 학생을 선발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 “시험 성적보다 더 공정한 게 어디 있나? 인재가 아니라 지인을 뽑으려는 것이 아닌가”라며 선발 기준이 공정하지 않다며 반발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자 정부 핵심 국정과제 중 하나인 한전공대는 전남 나주에 설립될 에너지 특화 대학으로 2022년 3월 개교 예정이다. 학생 1000명(대학원 600명·학부 400)명 규모이며, 설립 비용으로 6210억원이 책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공공의대 학생 선발 시 시민단체가 관여한다는 설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해명에 나섰던 만큼 이번에 논란이 된 한전공대의 선발 기준에 대한 명확한 설명 제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선 공공의대 선발 시민단체 추천설에 대해서는 보건복지부 김강립 차관이 “사실이 아니다. 공정성을 최우선 가치로 납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선발하도록 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김수련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