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며 경기 침체가 지속되자 충남도가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충남도는 27일 도청에서 경제·산업분야 관련부서,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6차 경제산업대책본부 회의’를 개최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제4차 비상경제 상황점검회의’에서 제안·건의된 과제를 논의하고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경제 상황을 공유했다.
충남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도내 제조업체들의 소비·수출을 비롯한 각종 지표의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7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대비 3000명 감소했으며, 고용률은 64.2%로 0.3%p가 줄고 경제활동참가율은 0.3%p 하락한 66.5%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의 경우 전체 비중의 47.9%를 차지하는 반도체 수출이 8.8%p 감소하며 전년 동기대비 5%p 감소한 428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도는 고용지표 향상 및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등을 골자로 하는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먼저 고용안정 및 취약계층 직접일자리·생활안정지원을 위해 생활방역 중심의 단기일자리를 연말까지 확대하고, 충남 노·사·민·정 협력을 통해 경제위기를 극복하기로 했다.
또 중장년 일자리 매칭 플랫폼 구축, 산업재해예방 가상현실 체험센터 설립·운영, 지역산업 고용안정 선제대응 등도 지원하기로 했다.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투자 활성화·금융지원확대를 위한 방안으로는 찾아가는 건강검진 진료소 운영, 충남 중소·벤처기업 육성 펀드 조성 등이 꼽혔다.
또 충남지역화폐 발행규모를 올해 말 5000억원 수준에서 내년에 1조원 규모까지 확대하고, 기존 5500억원이었던 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규모는 5700억원까지 늘린다. 특히 연말까지 소상공인·중소기업 긴급경영안정자금 1000억원도 추가 지원한다.
이밖에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내포신도시 IT 생태계 허드(HUD) 구축,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 ‘충남 3K(K-방역·의료, k-farm, k-pop)’ 세계화 프로젝트 추진, 첨단 물류기업 유치 등이 제안됐다.
김용찬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전 세계가 방역과 경제위기라는 두 과제에 봉착했다. 앞으로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하면서 소상공인 등 경제취약계층 지원과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각종 지원책을 신속히 시행하겠다”며 “코로나로 더욱 어려워진 지역경제 활성화에 모든 역량을 쏟아 붓겠다”고 말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