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 금리를 유지하기로 27일 결정했다. 현재 기준 금리는 연 0.5%다.
앞서 금통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경기가 침체될 것을 우려해 지난 3월 16일 ‘빅컷’(1.25%→0.75%)과 5월 28일 추가 인하(0.75%→0.5%)를 단행했다. 2개월 만에 0.75%포인트나 빠르게 금리가 내려간 셈이다.
이후 비교적 금융시장이 안정되고 부동산 주식 등 자산시장이 과열 상태임을 고려해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하진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 코로나19 재확산과 함께 경기가 더 나빠질 우려가 있기에 금리를 올릴 수도 없었다.
이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기준금리(3월 0.00∼0.25%로 인하)와 격차는 0.25∼0.5% 포인트가 유지됐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에 출석해 “국내 경제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최근 커지는 부동산 거품 논란에 금리를 추가 인하하는 데는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또 현재 기준금리 0.5%가 ‘실효하한’(현실적으로 내릴 수 있는 최저 금리 수준)에 이르렀다는 지적도 있다. 원화는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화폐)가 아니다. 만약 금리가 미국 기준 금리 상단인 0.25%와 같아질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
금융 외환 시장도 금리를 더 낮추기에는 안정적이다. 지난 11일 기준 국고채 3년물 금리는 0.82%로 지난해 말(1.36%)보다도 낮다. 3차 추가경정예산 재원 마련을 위해 대규모 국채를 발행했음에도 금리가 오르지 않은 것이다. 또 원/달러 환율도 1180원에 머물고 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