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두번째 국회 ‘셧다운’…이해찬 김태년 자가격리

입력 2020-08-26 21:57 수정 2020-08-26 22:57
지난 2월 24일 오후 방역 당국 관계자들이 폐쇄된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앞에서 방역 작업을 하는 모습. 국민일보 DB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를 26일 오전 취재한 기자가 오후 늦게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국회와 민주당이 초비상 사태에 돌입했다. 이해찬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는 27일 정치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방역 당국의 지침에 따라 선별검사 및 자가격리 조치에 들어갈 전망이다. 국회는 27일 국회 본관과 의원회관, 소통관을 폐쇄하기로 했다. 국회가 ‘셧다운’되는 것이다.

국회사무처 총무조정국은 오후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여했던 국회 출입기자가 코로나 선별검사 결과 확진판정을 받았다”며 “27일 오전 질병관리본부에서 검사 대상자를 판정할 때까지 개별 진료 방문을 지양하고 구체적인 지침이 있을 때까지 자가격리를 해달라”고 공지했다. 국회 사무처는 본관, 의원회관, 소통관 및 국회 어린이집 근무 인력을 모두 재택근무로 전환하고, 1차 접촉자로 파악되는 인원은 방역 당국의 안내에 따라 선별검사, 자가격리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앞서 오전 9시30분 국회 본청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를 취재한 사진기자는 보건 당국으로부터 확진자 접촉 통보를 받고 10시43분 국회를 떠났다. 이 기자는 지난 22일 함께 식사한 지인이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았다는 연락을 받고 이날 선별진료소 검사를 받았다. 이에 민주당 지도부와 당직자들도 해당 기자의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오후로 예정됐던 정책위 전체회의는 열리지 못했고 이 대표 퇴임 기념 최고위원들의 비공개 만찬도 전격 취소됐다.


이날 오후 8시쯤 해당 기자의 검사 결과도 양성으로 나오면서 국회와 민주당도 긴박하게 돌아갔다. 해당 기자가 취재했던 민주당 회의엔 이 대표와 김태년 원내대표, 조정식 정책위의장 등 국회의원 14명과 민주당 당직자 18명이 참석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장을 취재했던 기자 등을 포함하면 이날 현장에 있던 인원은 50여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던 강훈식 수석대변인은 “윤호중 사무총장으로부터 내일 오전 역학조사관을 맞아달라고 연락을 받았다”며 “역학조사 따른 당 지도부 입장을 내일 밝히겠다”고 말했다.

김영춘 국회사무총장은 여야 원내수석부대표 등이 참여한 코로나19 대응팀 회의를 개최하고 국회 방역 및 회의 일정 등에 대해 논의했다. 국회안전상황실은 밤늦게 국회 본관, 의원회관, 소통관의 인원을 모두 귀가조치하고 곧바로 폐쇄 작업에 돌입했다. 국회가 셧다운 된 것은 지난 2월에 이어 두 번째다. 당시 2월 19일 의원회관에서 개최된 토론회 참석자가 코로나19 확진자로 밝혀지면서 24일부터 26일까지 국회 본관과 의원회관, 도서관 등의 시설이 모두 폐쇄됐다. 이번엔 본관, 의원회관, 소통관 및 어린이집 건물을 폐쇄하고 소독 및 방역 작업을 벌일 예정이다.

민주당을 비롯해 미래통합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 각 정당의 지도부 회의도 줄줄이 취소됐다. 김태년 민주당 원내대표는 27일 오전 예정됐던 정책조정회의가 취소됐다고 의원들에게 공지했다. 통합당도 27일 비대위 회의에 이어 다음주 열릴 예정이던 상임 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 일정도 조정키로 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통합당 의원들은 공직자이자 한 사람 한 사람 국민된 심정으로 정부의 방역조치에 적극 협력하고 임해달라”며 “국가적 위기 앞에선 방역에 관해 과하다 싶을 정도의 대응도 부족하다”고 강조했다고 김은혜 대변인이 전했다.

국회에서 각 상임위별로 진행중인 예산 결산 심사도 모두 열리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당초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를 비롯해 국토교통위원회 등 상임위 마다 결산 심사를 진행할 방침이었다. 법사위원회 등 상임위의 예산결산심사소위와 전체회의 일정이 줄줄이 취소됐다. 또 다음 달 1일로 예정됐던 정기국회 개회식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 지 불투명해졌다.

민주당의 향후 정치일정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당장 29일 열리는 전당대회 개최마저 완전 비대면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커졌다. 민주당은 앞서 전당대회 현장에 당 지도부와 현장 취재 기자 및 행사 진행 실무지원 인력 등 47명만 입장을 허용할 방침이었다. 이 대표 등 현 지도부 7명, 안규백 전국대의원대회준비위(전준위) 위원장, 민홍철 중앙당 선거관리위원장, 이낙연 의원을 제외한 지도부 후보자 10명 등이 참석하기로 했었다.

김나래 이가현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