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교 1학년 대상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022년 11월 17일 치러진다.
교육부는 26일 ‘2023학년도 수능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시험 시행일은 2022년 11월 17일이고 성적은 같은 해 12월 9일 통보된다. 교육부의 수능 기본계획을 보다 구체화하는 ‘2023학년도 수능 시행기본계획’은 수능 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내년 3월 공고할 예정이다.
2023학년도 수능은 2022학년도부터 변경되는 수능 체제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국어와 수학은 ‘공통+선택’ 과목 구조로 공통과목과 함께 선택과목 가운데 1개 과목을 선택 응시한다. 국어 공통과목은 국어와 문학이다. 선택과목은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다. 수학 공통과목은 수학Ⅰ, 수학Ⅱ이고, 선택과목은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다.
국어·수학의 경우 영역별 전체 문항 중 공통과목 75%, 선택과목 25% 수준에서 출제하며, 성적 산출은 공통과목을 이용한 선택과목 점수 조정 절차를 거쳐 성적을 산출하게 된다. 문제지와 답안지는 공통·선택과목 문항을 단일 합권(1권) 형태의 문제지로 제공한다. 수험생은 원서 접수 시 선택한 선택과목을 찾아서 응시한다.
사회·과학탐구는 문·이과 구분 없이 17개 과목 가운데 최대 2개 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한다. 직업탐구는 2개 과목을 응시할 경우 전문공통과목(성공적인 직업생활)과 계열별 선택과목 중 1개 과목을 응시한다. 계열별 선택과목은 농업 기초 기술, 공업 일반, 상업 경제, 수산·해운 산업의 기초, 인간 발달 등이다. 직업탐구 1개 과목만 응시할 경우 계열별 선택과목 가운데 1개 과목을 선택해 응시한다.
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로 전환된다. 절대평가로 치러지는 과목은 영어, 한국사, 제2외국어/한문으로 늘어난다. 국어 수학 탐구는 종전처럼 상대평가로 치러진다. 한국사와 탐구는 답안지를 분리하여 각각 제공한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