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사들 오늘부터 2차 파업… 비상진료체계 가동

입력 2020-08-26 08:11 수정 2020-08-26 10:13
사진=연합뉴스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의사들이 26일부터 사흘간 집단휴진에 들어갔다.

대한의사협회는 이날부터 28일까지 예고했던 제2차 전국의사 총파업을 벌인다. 이들은 정부의 의대 증원, 공공의대 설립, 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육성 등 4가지 정책을 철회하라고 주장하며 단체행동에 나섰다.

이번 단체행동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해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야외 집회나 모임 없이 열린다.

2차 집단휴진에는 이미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와 전임의, 개원의까지 가세할 전망이다.

전공의와 일부 전임의의 공백으로 이미 곳곳의 대형병원이 수술에 차질을 빚고 있는 데다 동네의원마저 휴진함에 따라 진료 공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날 전공의 수련기관 200곳 중 163곳의 응답을 기준으로 전공의 휴진율은 58.3%(현원 1만277명 중 5995명 휴진), 전임의 휴진율은 6.1%(현원 2639명 중 162명 휴진)다.

주요 대학병원은 파업으로 인한 업무 공백에 대비해 외래 진료를 줄이고 수술을 연기하는 조치 등을 진행했다.

정부는 동네의원 휴진율 상승으로 진료 공백이 벌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보건소를 중심으로 하는 비상 진료체계를 구축한 상태다.

지난 14일 1차 집단행동에는 전국의 의원급 의료기관 중 약 33%가 휴진했다.

지난 23일 서울 광진구 건국대병원에서 전공의들이 의대 정원 확대 재논의 등을 촉구하며 의사 가운을 벗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는 국내 코로나19 상황이 엄중한 데 따라 의료계에 단체행동을 중단해달라고 거듭 요청하고 있다.

앞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와 의협은 정세균 국무총리,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등과 만나 의료계 현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파업 직전까지 이들은 물밑 협상을 했으나 단체행동 철회로 이어지진 않았다.

의협과 복지부는 잠정 합의안을 마련하기도 했으나 의료계 내부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반발이 거세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