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 광주공장 취업사기 사건이 2년여 만에 재발했다. 경찰이 본격 수사에 착수해 전모가 드러날지 주목되고 있다.
광주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광산구 모 교회 목사 A씨 등이 신도와 가족 등을 상대로 기아차 광주공장 취업을 미끼로 구직자들에게 수십억원의 금품을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 벌여온 내사를 최근 정식 수사로 전환했다”고 25일 밝혔다.
경찰은 그동안 내사를 통해 피해자들로부터 1인당 1000만원에서 5000만원까지 금품 제공과 함께 취업을 청탁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현재 피해자는 650여명, 피해액수는 150억여원으로 추산된다.
피해자들이 지난 23일 SNS에 개설한 실명인증 비밀 대화방 참여자만 320여명에 달한다. 피해자들은 “기아차 협력업체 비정규직으로 입사한 뒤 광주공장 정규직이나 광주형 일자리 모델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 생산직으로 특별채용될 수 있다는 말에 속아 사례금 명목으로 돈을 건넸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찰은 A씨 외에 2명 이상의 취업브로커가 기아차 취업 비리에 관여한 정황을 포착하고 이들을 사기혐의로 형사 입건했다. 경찰은 A 씨 등을 참고인 신분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하고 출금금지 조치를 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실제 취업이 성사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경찰은 기아차 광주공장뿐 아니라 올해 하반기 생산직 채용 예정인 GGM 취업비리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하지만 A씨는 채용알선 사기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경찰은 이에 따라 피해자들이 제출한 입금내역 등 증거를 토대로 공모 여부 등 정확한 경위와 피해 규모 등 혐의 입증에 주력하고 있다.
앞서 광주에서는 2018년과 2014년, 2004년에도 기아차 광주공장 전·현직 직원과 노조 간부, 하청업체 직원 등이 연루된 취업사기 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2018년 7월 50억원대 취업사기 사건이 불거져 4명이 구속되고 6명이 불구속 입건됐고, 2014년 12월에는 32억원대 채용비리로 역시 4명이 구속됐다. 2004년에도 당시 노조지부장 정모씨 등 19명이 구속되고 경찰공무원 등 120여명이 사법처리되는 대규모 채용비리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과 검찰의 수사결과 2004년 채용비리 사건의 경우 120여명이 채용 사례금을 주고 실제 기아차 광주공장에 입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 관계자는 “수사가 진행 중인 것은 맞지만 구체적 내용은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