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늘고 있다. 1주 만에 7배 이상 증가했다. 이른바 ‘깜깜이 환자’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는 8월 셋째 주(16∼22일) 확진자 가운데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사례가 191명이라고 25일 밝혔다. 이 기간 전체 확진자(902명)의 21.2%다.
서울 내 깜깜이 환자는 6월 첫째 주(5월 31일∼6월 6일)부터 매주 10명 안팎씩 발생하다가 8월 둘째 주(9∼15일) 25명으로 늘었고 셋째 주에는 1주 만에 7.6배 급증했다. 역학조사로도 연결고리가 명확히 확인되지 않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n차 전파’가 전방위로 늘면서 감염경로 역추적이 더이상 불가능한 사례가 적지 않다. 이는 발생 요인을 차단, 선제적 조치하는 방역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특히 고령층일수록 깜깜이 환자 비율이 높은 것도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역학조사는 확진자의 진술, 휴대전화 위치추적, 각종 카드 사용내역, CCTV 녹화 기록 등을 주로 활용하는데 고령층일수록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고 현금 사용 비율도 높다.
서울의 연령대별 ‘깜깜이 환자’ 비율은 80대 이상이 23.3%로 가장 높았다. 70대(18.1%)와 60대(15.8%)가 뒤를 잇는다. 반면 10대(6.5%)와 20대(7.4%)에서는 깜깜이 환자 비율이 노년층의 절반 수준이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