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밀어붙이는 중국 소셜미디어 ‘틱톡’ 제재에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가 관여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23일(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저커버그가 미국 정부와 의회를 상대로 틱톡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를 들어 제재 필요성을 설파해왔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저커버그는 지난해 10월 말 백악관에서 열린 비공개 만찬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중국 인터넷 기업의 성장으로 미국 업계가 위협을 받고 있다”며 “페이스북보다 중국 IT기업을 우선 제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커버그는 지난해 9월 톰 코튼 공화당 의원과 척 슈머 민주당 의원을 만난 자리에서도 이 사안에 대해 논의했다. 두 의원은 곧 틱톡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달라는 서한을 미국 정보기관에 보냈다.
WSJ는 “미국 정부는 이 시점에서 얼마 지나지 않아 틱톡에 대한 국가안보 조사를 시작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틱톡에 대한 전면 사용 금지안을 언급했다”고 전했다.
저커버그는 대학 강연 등 외부에서도 틱톡 관련 비슷한 주장을 펼친 것으로 보인다. WSJ는 “그 무렵 저커버그가 틱톡이 페이스북처럼 표현의 자유 준수를 약속하지 않고 있으며 미국의 가치와 기술 패권에 위협이 된다고 공공연히 말하고 다녔다”고 전했다.
저커버그의 이 같은 움직임은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등 이른바 ‘빅4’로 불리는 IT기업이 반독점법 시비 대상에 오른 데에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 미국 법무부는 지난해 7월부터 미국 테크 기업들의 반독점 행위에 대한 조사를 진행해왔다. 지난 7월에는 이들 기업의 CEO들을 대상으로 한 반독점 온라인 청문회가 열리기도 했다.
다만 WSJ는 틱톡을 겨냥한 미국 정부의 규제에 저커버그의 발언이 정확히 어떻게 작용했는지 단정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저커버그의 의중대로 틱톡 제재안이 만들어졌는지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재 압박에 미국 사업부 지분을 매각할 것으로 알려진 틱톡은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트위터와 오라클 등도 인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틱톡이 MS 등에 실제로 인수된다면 페이스북으로서는 미국 내에서 맞서 싸워야 할 강력한 라이벌이 생기는 것이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