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문제에 대해 “전 국민에게 지급돼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여당이 추진해온 보편복지 노선을 따라야 한다는 논리를 펼쳤다.
이 지사는 최근 정치권에서 백가쟁명식 논의가 진행되는 2차 재난지원금 지급과 관련해 24일 “반드시 전 국민에게 지급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일각의 선별 지급 주장에 대해 “재난지원금 성격을 오해하고 헌법상 평등 원칙을 위반해 국민 분열과 갈등을 초래하며, 더불어민주당이 견지해온 보편복지 노선을 버리고 보수 야당의 선별복지 노선에 동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번 코로나19로 피해 보지 않은 국민이 없다. 재난지원금은 국민 세금으로 충당하는데, 더 많은 세금을 냈거나 내야 할 사람들을 경제정책 집행에서 배제해 불이익을 줘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재난기본소득은 이 지사의 ‘시그니처 정책’이다. 그는 경기도에 가장 선제적으로 재난기본소득을 도입했고, 결과적으로 중앙정부 차원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차 재난지원금이 지급된 직후에도 이 지사는 “전보다 더 추운 혹한이 오는데, 더 강력한 담요나 최소한 같은 담요를 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2차, 3차 재난지원금 지급 필요성을 주장한 바 있다.
이 지사는 코로나19 대책이나 부동산 정책 등 국민적 관심이 높은 현안에 대해서도 기민하게 대응하고 있다. 최근 도내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한 것, 기본주택 의제를 강조하며 부동산 불법 거래를 막기 위한 도·시군 합동 특별조사를 실시한다고 한 것이 대표적이다.
폭발력이 높은 사회 이슈에 대해 이 지사가 이른바 ‘선명성’을 앞세워 연일 존재감을 드러낸 탓인지 최근 이 지사의 차기 대권주사 선호도도 크게 오르고 있다. 한국리서치가 지난 20~22일 전국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이 지사의 지지율은 직전 조사보다 6%포인트 오른 24%를 기록해 1위를 기록했다. 이낙연 의원은 1%포인트 내려간 22%로 2위였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이 지사는 최근 민주당 전당대회에 최고위원 후보로 출마한 의원들을 ‘핀셋 지원’하고 있다. 당내 우군 늘리기에도 힘을 쏟는 모양새다. 이원욱 의원에 대해선 “최고위원이 되면 당론으로 기본주택을 추진하고, 경기도정에도 큰 도움을 줄 것 같다”고 했고, 소병훈 의원에 대해선 “차기 지도부에서 기본소득 당론을 반드시 관철할 분이 꼭 필요하다”고 했다. 염태영 수원시장에 대해서도 “자치분권 실현 주장에 공감한다”고 했다.
이 지사 측 관계자는 “이 지사는 뜻이 맞는 민주당 의원들과 일종의 ‘가치 연대’를 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남국(이자제한법·병원 수술실 CCTV 설치) 박용진(공매도 금지 연장) 신정훈(부동산 백지신탁제) 윤준병(노동경찰제) 의원과의 ‘입법 연대’도 같은 맥락이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