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2차 대유행으로 백화점을 비롯한 오프라인 유통업계가 직격탄을 맞았다. 시민들이 인구 밀집시설과 교외 방문을 꺼리면서 일어난 현상이다. 반면 먹거리 온라인 주문은 급증했다.
지난 주말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일제히 감소한 것으로 24일 조사됐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금~일요일인 21~23일 사이 매출이 같은 기간 대비 25% 줄어들었다.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도 각각 15%, 12% 감소했다. 이들은 지난 17일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맞은 황금연휴에서 매출이 16~17% 늘어나며 경기 회복 기대감을 내비쳤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확대로 반짝 특수에 그치고 말았다. 특히 지난 주말 매출 감소폭은 연휴가 끝난 후 평일이었던 18~20일 매출 감소폭(3~15%)보다 커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을 고스란히 입증했다.
교외형 아울렛과 복합쇼핑몰은 더 큰 피해를 보았다. 롯데 교외형 아울렛 6곳의 매출은 43%, 현대 아울렛 7곳 매출도 17% 줄어들었다. 복합 쇼핑몰인 스타필드 3개점(하남·코엑스몰·고양)과 스타필드시티 3개점(위례·부천·명지) 방문객 수도 전주 주말(14~16일) 대비 35%나 감소했다.
온라인몰에서 먹거리를 사는 사람들은 늘어났다. 마켓컬리는 21~23일 주문이 직전 주(14~16일) 대비 34%, 매출은 35%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만약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강화된다면 타격이 더 클 것”이라며 “특히 추석을 앞둔 상태라 유통업계 피해는 더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