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재난지원금 선별지급? 자기돈 자선하듯 안된다”

입력 2020-08-24 08:54 수정 2020-08-24 09:45
이재명 경기지사가 지난 14일 오후 경기 수원시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내 모든 종교시설에 대해 2주간 집합제한 행정명령을 내리는 내용에 대해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2차 긴급 재난지원금을 둘러싼 정치권의 논의가 급물살을 탄 가운데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선별 지급 주장은 상위소득 납세자에 대한 불합리한 차별이자 여당의 보편복지 노선에서 보면 어불성설”이라며 전 국민 지급을 거듭 촉구했다.

이 지사는 24일 페이스북에 “재난지원금을 일부에게 지급하거나 전 국민에게 지급할 재원을 하위 50%에게만 2배씩 지급하자는 주장은 헌법상 평등 원칙을 위반해 국민 분열과 갈등을 초래하고 보수 야당의 선별복지 노선에 동조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적었다.

이는 전 국민 100% 지급에 당론을 모았던 지난 5월과 달리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도 ‘소득 하위 50% 제한’ 등 선별 지급을 주장한 데 따른 비판이다.

이 지사는 “별 차이도 없는 하위 50%와 하위 50.1%를 구별하는 것은 합리적 근거가 없다”며 “더 많은 세금을 냈거나 내야 할 사람들을 경제정책 집행에서 배제해 불이익을 주어서는 안 되고, 부자에 대한 관념적 적대성의 발현이라면 더더욱 안 될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민주당이 보편복지를 주장하다가 갑자기 재난지원금만은 선별복지로 해야 한다니 납득이 안 된다. 재원 부담자와 수혜자를 분리해 가난한 일부 사람만 복지 혜택을 주면 재원 부담자인 상위 소득자들의 반발로 하위 소득자들의 복지 확대는 더 어렵게 된다”고 맹공했다.

이 지사는 “총선 전 여론조사에서 20% 이상은 재난지원금을 받지 않겠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97% 이상이 수령했다”며 “민주공화국의 대리인들은 국민의 뜻에 따라야 하고 권한 행사는 공평해야 하는데, 자신의 돈으로 자선하는 것처럼 마음대로 해서는 안 된다”고도 비판했다.

그러면서 “전 국민에게 지급하기엔 재원이 부족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지급해야 할 금액이 정해진 것도 아니니 부족도 초과도 있을 수 없다. 필요하고 가능한 재원을 먼저 정한 후 그 돈을 전 국민에게 고루 지급하면 부족할 것이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 지사는 지난 21일 “모든 국민에게 지역화폐로 개인당 30만원 정도를 지급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밝힌 바 있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