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민 “친문지지층 의사만 반영 지적 동의 안해. 국민 끝장토론 열겠다”

입력 2020-08-23 12:30 수정 2020-08-23 12:39

‘세월호 변호사’ ‘거지갑’. 문재인 대통령이 20대 총선에서 직접 영입한 소탈한 모습의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전당대회에서 초선임에도 1위 득표율을 기록하며 최고위원 자리에 올랐다. 이번 전당대회에서는 ‘40대 기수론’을 앞세워 당대표 선거에 출사표를 던졌다. 박 의원은 당원의 목소리, 민심을 들을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겠다며 당과의 소통을 강조하겠다는 각오로 나섰다.

다음은 박 의원과의 일문일답.

-박주민이 당대표가 된다면 어떤 것이 달라지나.
“당원의 목소리가 당 지도부에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하겠다. 국민과 대화하는 정당이 될 것이다. 1만 당원이 청원한 경우 최고위원회 의제로 다뤄지도록 연 1회 정책전당대회를 열겠다. 또 국민과 대화하는 정당이 될 수 있도록 사회적 의제연석회의를 만들어 의제별로 국회의원과 지방의원, 국민, 전문가가 끝장토론을 열어 협의점을 만들어 나가겠다.”

-열성 친문 지지층의 목소리에만 귀기울인다는 지적이 있다.
“예를 들어 주택임대차보호3법은 이미 수년간 논의가 돼왔고 2019년엔 법 통과를 전제로 수년간 논의가 돼왔다. 원 구성과 관련해서는 주호영 원내대표와 수차례 가합의를 이루고도 미래통합당 내부 의사결정이 안돼 지연된 사정이 있다. 지지층의 의사만 반영해 움직였다는 평가에 동의하기 어렵다.”

-당대표가 된다면 문재인정부 후반기 당정청 관계를 어떻게 이끌어나갈 것인가.
“당이 당원과의 소통으로 민심을 정부와 청와대에 전달하겠다. 민심에 따른 정책입안에 참여하며, 그렇게 마련된 정책을 국민에게 설명하고 설득하는 과정이 매끄럽게 이뤄질 수 있는 역할을 당이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 사회에서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는 세대 간 이해관계 대한 복안이 있다면.
“어떤 세대가 이기면 어떤 세대가 지는 ‘제로섬 게임’의 장이 아니라 서로가 조금씩 양보하면 모두에게 큰 혜택이 돌아가는 ‘협력 게임’의 장으로 프레임을 전환하고자 한다. 사회적 대화기구를 당내에 설치하겠다고 하는 것도 이런 작업을 해내기 위해서다. 갈등적 의제를 합의적 의제로 만들어내는 것이 정치의 기본이라고 생각한다.”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분노, 특히 2030세대의 분노의 원인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나.
“2030세대를 포함해 우리 사회 구성원에 제대로 된 자산증식 수단이나 걱정없이 삶을 꾸려갈 수 있는 사회적 안전망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무조건 자산증식 수단으로서 주택의 지위를 박탈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장기적으론 사회적 안전망을 확충해나가고, 산업 활력을 제고해 새로운 자산 증식 수단을 마련해가야 한다.”

-최근 부동산 정책에 대한 민심의 흐름을 어떻게 보고 있나.
“현재 집값을 안정화시키려는 정부의 정책은 옳은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주택은 공급에 꽤 오랜 시간이 걸려서 다른 정책에 비해 효과가 늦게 나타나는데, 일관성 있게 정책을 추진해나간다면 민주당에 대한 지지와 신뢰는 계속될 것이라 생각한다.”

-민주당의 젠더 감수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명직 최고위원 전원 여성 지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좋은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공약으로 차기 지방선거 기초의원 선거 여성 할당 비율을 50%로 하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젠더에 대한 대표성은 지금보다 더 높여야 할 과제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