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한수원, 맥스터 증설 지역발전 방안 마련키로

입력 2020-08-21 11:55 수정 2020-08-21 12:36
21일 주낙영(사진 왼쪽) 경북 경주시장과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월성원전 맥스터 증설에 따른 지역발전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경주시 제공

경북 경주시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월성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건식 저장시설인 맥스터 추가건설 확정에 따른 후속조치를 마련하기로 했다.

21일 경주시와 한수원은 경주시청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맥스터 증설에 대한 지역민들의 요구를 수용하고 월성원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한수원은 빠르면 이달 중 맥스터 공사에 들어가게 된다. 월성 원전 2~4호기가 멈춰서는 사태를 피할 수 있게 됐다.

한수원 정재훈 사장은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맥스터 건설 및 운영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주민참여를 보장하겠다”면서 “지역 지원방안에 대한 원만한 합의가 이루어진 다음 맥스터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월성원전 2, 3, 4호기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맥스터 건설에 필요한 공기를 감안해 신속한 행정절차가 이뤄져야 한다”며 경주시의 신속한 행정절차를 당부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구체적인 지역 지원방안 마련을 위해 시민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할 것”이라며 “사용후핵연료와 방사성 폐기물 저장에 따른 보상방안 강구의 근거가되는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을 위해 정부, 한수원, 원자력환경공단 등과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지역의견 수렴과정에서 나타난 갈등을 조속히 치유하고 화합과 안정을 통해 상생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월성원전 내 맥스터의 포화상태는 현재 97.6%로 내년 11월쯤 완전 포화가 예상된다. 맥스터 추가 증설은 최소한 19개월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핵폐기물 재검토위는 환경단체 등 일각에서 제기하는 ‘주민의견 수렴 결과 조작’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오는 26일 설명회를 열기로 했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