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골목상권 영세 소상공인들이 사회적경제 방식으로 위기를 극복하도록 지원하는 ‘소상공인-사회적경제 협업 프로젝트’를 새롭게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같은 골목상권 내 동종 유사업종 소상공인 업체 5곳 이상이 하나의 협업체를 구성해 사회적경제기업(협동조합,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으로 전환하고 구매·생산부터 판매·유통, 브렌딩, 마케팅 등 경영 전 분야를 공동 추진해 규모를 확장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목표다. 예를 들어 같은 지역 내 구둣가게 5곳이 협동조합을 결성, 가죽을 공동 구매해 원가를 절감하고 공동브랜드를 만들어 새로운 판로를 함께 개척하면 지원받을 수 있다. 또 최근 비대면 구매 문화 확산으로 배송서비스 수요가 많은 만큼 지역 내 빵집들이 함께 동네배송 서비스를 시작할 수도 있다.
서울시는 소상공인-사회적경제 협업프로젝트를 통해 최대 100개의 협업체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협업체 당 최대 3000만 원을 지원한다. 소상공인들은 이러한 사회적경제 방식에 대해 전문성이 다소 부족한 만큼, 자치구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지역지원기관(사회적경제조직)을 선발해 업체 간 협업과 사회적경제기업 설립 등을 지원한다. 일종의 사업 코디네이터 역할을 할 사회적경제조직을 ‘지역지원기관’으로 선정해 협업체를 발굴,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역지원기관(사회적경제조직)을 9월 4일까지 모집한다.
서울시는 이번에 10곳 내외 지역지원기관을 선정하고, 선정기관 당 5~10개의 협업체를 발굴하는 방식으로 최대 100개의 협업체를 지원할 계획이다. 선정된 지역기관은 지역지원기관은 2명의 전담인력을 고용하고 다양한 지역자원을 연계해 12월까지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된다.
각 협업체에는 골목상권과 공동체 활성화 정도에 따라 최대 3000만원을 지원한다. 지원금은 공동브랜드 개발, 고객관리시스템 구축, 공동구매, 장터‧전시회개최, 판로 개척, 사회적경제기업(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 전환, 교육 등에 활용해야 한다.
이중 5개 내외 협업체(골목상권)에 대해서는 배달협동조합과 연계해 지역배송 서비스를 추진하는 ‘공동 배달유통 시스템’을 시범 구축하고, 3000만원을 추가로 지원한다. 서울시는 배달수수료 절감 등 사업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소상공인 지원정책 수립시 반영할 예정이다.
고광현 서울시 사회적경제담당관은 “소상공인-사회적경제 협업 프로젝트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골목상권 소상공인들을 협동조합 같은 사회적경제조직으로 전환해 경쟁력을 높이는 사업”이라며 “사회적경제라는 안전망을 통해 외부 위기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고 골목경제를 활성화하며 지속가능한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확산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