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전 가구 근로·사업·재산소득 모두 감소
그러나 재난지원금 덕분에 총 소득은 증가
3분기 이후엔 지원금 소진…공표 안한 1인 가구도 취약
근로자나 자영업자가 벌어들인 돈은 전보다 감소했는데 소득 총량은 늘었다. 소득 하위 20%와 상위 20% 간 격차도 상쇄됐다. 바로 14조원 긴급재난지원금의 마술이다. 2분기에 전 가구가 근로·사업·재산소득이 동시에 감소하는 극한의 상황을 정부 지원금으로 버틴 셈이다. 안도도 잠시다. 재난지원금이 소진된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하고 있는 3분기 이후에는 소득 추락 및 양극화 심화가 우려된다.
통계청은 20일 ‘2020년 2분기 가계동향 조사’에서 4~6월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총 소득은 527만2000원이라고 밝혔다. 전년 대비 24만원, 4.8% 증가했다. 하지만 항목을 뜯어 보면 특이한 점을 볼 수 있다. 가계 소득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근로·사업·재산소득이 코로나19에 따른 불황 여파로 모두 줄었다. 전년 대비 근로소득은 -5.3%, 사업소득과 재산소득은 각각 -4.6%, -11.7%였다. 세 항목의 동반 감소는 2003년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래 처음이다.
그럼 어떻게 총 소득은 늘었을까. 바로 정부 도움 덕이다. 5월부터 재난지원금이 풀리면서 정부가 지원하는 돈인 ‘공적이전소득’이 전년 대비 127.9%나 훌쩍 뛰었다. 각 가구당 평균 77만7000원이 지급되면서 소득 감소를 보완했다.
국민 소득을 5구간으로 나눠봐도 1~5분위 모든 계층의 총 소득이 늘었다. 총 소득에서 이전소득 비중이 56.0%에 달하는 저소득층인 1분위(소득 하위 20%)는 전체 증가율이 8.9%로 가장 컸다. 반면 고소득층인 5분위(소득 상위 20%)는 가구원 수가 많아 재난지원금을 많이 받았다. 다만 전체 소득에서 이전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9.8%에 불과해 전체 증가율이 2.6%로 가장 적었다.
재난지원금은 계층 간 소득 격차도 메꿨다. 소득 상·하위 20%의 격차인 5분위 배율은 재난지원금 등 공적이전소득을 제외했을 때 8.42배로 지난해 같은 기간(7.04배)보다 크게 벌어졌다. 하지만 공적이전소득을 포함한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23배로 뚝 떨어졌다.
그러나 3분기 이후 사정은 다시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 시장 소득이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데, 재난지원금은 바닥 났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가 이날 공표하지 않은 1인 가구의 2분기 월평균 총 소득은 오히려 전년 대비 2.4%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1인 가구에는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이 많이 분포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분기 분배 지표가 개선됐지만, 3분기 소득분배 여건은 여전히 엄중한 상황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가계동향 조사에서는 부동산 과열 흐름도 나타났다. 근로소득 등이 감소해 관련 세금인 전 가구 월평균 경상조세 지출이 5.5% 줄었는데, 부동산 양도소득세와 취득세 등이 포함된 월평균 비경상조세 지출은 153.2%나 늘었다.
세종=전슬기 기자 sgj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