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과 다른 야당인 국민민주당이 합당한다.
국민민주당은 19일 도쿄 시내 호텔에서 의원 총회를 열고 당을 해산한 뒤 입헌민주당과의 신당을 결성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두 정당은 다음 달 중으로 신당 이름을 정하고 신당을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신당에는 국민민주당에서 중진·신진 의원 30여명 외에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전 총리, 오카다 가쓰야(岡田克也) 전 외무상이 각각 이끄는 총 20명 정도의 무소속 그룹 의원 중 대다수가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아사히신문은 전했다.
현재 국민민주당은 중의원(하원, 전체 465석) 40석, 참의원(상원, 전체 245석) 22석을 갖고 있다. 국민민주당을 사실상 흡수하는 입헌민주당은 중의원 56석, 참의원 33석 등 중·참의원에서 89석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 언론은 국민민주당 의원 62명 중 상당수가 신당에 참여해 일부 무소속 의원을 포함한 신당 의석이 150석가량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두 야당 통합을 계기로 야권이 각종 선거에서 단일 후보를 낼 수 있는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으며 내년 10월에 예정되어 있는 총선 판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된다.
이번 합당은 수적인 측면에서 큰 성과이지만 지지율 측면에서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도통신이 지난달 17∼19일 실시한 유권자 여론조사에서 정당 지지율은 자민당 31.9%, 입헌민주당 6.3%, 국민민주당 1.5%로 나타나 자민당의 지지율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또한 이번 합당이 정책 측면에서 구체적인 명확성이 없기 때문에 반쪽짜리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입헌민주당 소속 의원은 전원이 신당에 참가할 의향을 내비친 한편, 국민민주당에서는 일부 의원들이 기본정책의 제대로 접합되어있지 않다며 분열하는 양상을 보였다.
다마키 유이치로(玉木雄一郞) 국민민주당 대표는 입헌민주당과의 통합에 찬성하고도 본인은 소비세 감세 등 일부 정책 방향을 둘러싼 이견을 이유로 신당에 불참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일본 내 온라인 여론도 야당이 명확한 정책을 수립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일본에 거대 야당이 출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 그때와 달리 야당이 명확한 지향점을 드러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구민주당은 지난 2009년 총선에서 ‘콘크리트에서 사람으로’를 슬로건으로 복지를 내세워 308석(중의원)이나 되는 절대다수 의석을 차지한 바 있다. 일본의 한 NPO 대표는 마이니치신문의 의견란에서 “2008년 당시는 비정규직·프리터·파견끊기(파견직 노동자의 고용계약이 갱신되지 않는 것)문제가 큰 사회적 문제였다”며 “격차를 포착한 전략을 통해 부자 우대의 자민당에 대해 복지를 내거는 민주당이라는 구도가 매우 뚜렷하게 드러났다”고 말했다.
또한 “(정치인의)‘맨날 보는 얼굴’이 문제가 아니라 복지정책이라는 ‘축’이 없는 게 문제”라고 꼬집었다.
김나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