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울산시가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원전해체(원자력)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지정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는 지역별 특화된 에너지산업과 에너지 연관산업의 기업·기관·연구소 등이 집적돼 비용감소와 기술혁신 등의 융복합효과를 가져오는 클러스터이다.
원전해체(원자력)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는 총면적 20.04㎢로, 코어지구와 연계지구로 나눠 조성한다. 이번 지정을 통해 부산과 울산은 지역 내에 있는 기존 산업단지·연구소·산업체 등을 중심으로 원전해체산업 분야를 중점 육성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코어지구’는 기장군의 동남권방사선의과학산단, 반룡부산신소재일반산단, 울주군의 에너지융합산업단지 등이 포함됐다.
‘연계지구’는 기계적 원전해체, 에너지 소재·부품·장비 관련 산업 집적지인 녹산 국가산단이 중심지가 된다. 이 지역은 앞으로 미래 에너지산업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이번 단지 지정으로 2030년까지 10조원 규모로 예상하는 국내 원전 해체시장을 주도해 나갈 수 있게 됐을 뿐만 아니라 123조원으로 추산되는 원전해체 관련 글로벌 시장에도 뛰어들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부산시는 이번 단지 지정을 통해 2030년까지 1만명의 신규고용과 500개의 기업 유치를 계획했다. 이 파급효과로 2만3399명의 고용과 3조797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는 미국 아르곤 연구소와 부산대학교가 공동으로 진행 중인 ‘원전해체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비롯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동남권 분원에서 진행 중인 ‘원전해체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한국기계연구원 부산센터의 ‘레이저 기술개발사업’ 등의 사업을 기반으로 지역대학, 기업의 참여폭을 넓혀 나갈 계획이다.
또 해체기술 실증 및 고도화와 해체산업 지원 등 원전해체 기술 자립을 주도하는 2500억원 규모의 ‘원전해체연구소 설립’도 2024년 준공을 목표로 순항하고 있다고 했다. 이밖에 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제로를 추구하는 신기술 분야인 고 자기장 자석 기술과 플라스마 기술 등 차세대 미래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하는 계획을 추진한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