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수도권 기초단체장 상위 10명 부동산 평균 39억원”

입력 2020-08-20 12:40
시민단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20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수도권 기초단체장 부동산 재산 분석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연합뉴스

수도권 기초단체장 중 부동산 재산 상위 10명의 부동산 재산이 국민 평균의 13배에 달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0일 서울 동숭동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경기·인천 등 기초단체장 65명의 재산 신고내용을 분석한 결과 1인당 평균 재산은 15억4000만원이며, 이중 부동산 재산은 평균 10억8000만원으로 70%에 달한다”고 밝혔다. 특히 부동산 기준 상위 10명의 평균 신고재산은 42억6000만원, 부동산재산은 평균 39억원으로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국민 평균 가구당 부동산 재산(3억원)의 13배로 나타났다.

부동산 재산이 가장 많은 기초단체장은 총 76억원의 재산을 보유한 김영종 서울 종로구청장이었다. 정순균 강남구청장(70억1000만원), 조은희 서초구청장(50억1000만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경기도에서는 엄태준 이천시장(47억원)이, 인천에서는 이재현 서구청장(15억5000만원)이 가장 많은 부동산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경실련은 “특히 김영종, 정순균, 조은희, 엄태준 등 상위 4명의 단체장들은 34억~72억원의 상가건물을 보유한 상가부자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또 수도권 기초단체장 4명 중 1명은 다주택자로 나타났다. 경실련에 따르면 본인 및 배우자 기준으로 65명 중 16명(24%)이 2채 이상 주택을 보유했으며, 다주택 보유 상위 5명은 1인당 평균 7채(총 34채)를 보유했다. 가장 많은 주택을 보유한 이는 백군기 용인시장으로 서울 서초구 아파트 1채와 배우자 소유의 용산구 연립주택 13채를 포함해 총 14채를 보유했다. 서철모 화성시장(9채), 성장현 용산구청장·문석진 서대문구청장(4채) 등이 뒤를 이었다.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이들이 보유한 아파트·오피스텔의 시세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경실련이 2017년 5월부터 지난달까지 국민은행 부동산 시세 등을 활용해 조사한 결과, 아파트·오피스텔을 보유한 기초단체장 35명은 1인당 평균 2억9000만원(41%)의 시세 상승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상승 폭이 컸던 이는 강남구와 송파구에 각각 아파트, 오피스텔 1채씩을 보유한 정순균 강남구청장으로 총 12억3000만원(33억8000만원→46억1000만원)의 시세 이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경실련은 “기초단체장 재산 조사 결과 문재인정부 이후 부동산 정책 개혁이 적극적이었는지 의구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며 “공시가격이 아닌 시세 공개를 통해 기초단체장을 포함한 고위공직자의 부동산 재산 축소공개와 ‘깜깜이 공개’를 근절해야 하며 다주택 보유·임대업 등 관련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지애 기자 am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