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2분기 소득 하위 20% 빈곤층의 근로소득이 상위 20% 부유층 근로소득보다 4.5배 더 줄었다고 20일 2분기 가계동향 조사 분석 결과에서 발표했다.
소득 하위 20% 가구 월평균 근로소득 48만5000원… 18.0% 감소
2분기 중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48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18.0% 감소했다. 5분위(상위 20%) 가구의 근로소득 감소율은 4.0%였다. 1분위부터 5분위까지 모두 근로소득이 감소했지만 1분위의 감소폭이 가장 컸던 셈이다. 5분위와 비교하면 감소폭이 4.5배 컸다.
이는 코로나19 여파로 일감 자체가 줄었기 때문이다. 임시·일용직이 많은 1분위 가구는 이런 상황에서 직격탄을 맞는다. 상용직이 많은 5분위 역시 특별급여 감소 등 임금 상승이 저조해 소득 증가율이 낮아졌지만 일자리 자체를 많이 잃은 1분위 가구보다는 상대적으로 소폭 하락했다.
하위 20% 가구 월 1만1000원 잃을 때 상위20%는 340만원 흑자
사업소득도 마찬가지다. 2분기 중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사업소득은 26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15.9% 급감했다. 같은 기간 5분위 가구의 사업소득은 175만9000원으로 2.4% 줄어드는데 그쳤다. 1분위 가구의 감소폭이 6.6배 더 컸다.
1분위 가구가 월 평균 1만1000원 적자를 내는 동안 5분위 가구는 340만원 흑자를 냈다. 5분위 가구의 흑자율은 42.9%에 달했다.
지출 부문에선 1분위 가구의 월평균 가계지출이 1.1% 늘어나는 동안 5분위 가구는 0.5% 증가하는 데 그쳤다. 1분위 가구는 교육비가 37.8% 줄었다. 교통비나 의류·신발 지출 감소율도 10%에 육박한다. 5분위 역시 교육비를 19.2%, 의류·신발 지출을 13.5%씩 줄였다.
재난지원금 효과로 하위 20% 공전이전 소득 83만3000원
다만 재난지원금이 지급돼 공적이전 소득은 개선됐다. 1분위 가구의 월평균 공적이전 소득은 83만3000원이었다. 월평균 소득(177만7000원)의 거의 절반에 달한다. 5분위 가구 역시 공적이전 소득으로 75만원을 받았지만 월평균 소득이 1000만원을 넘는 5분위 가구에선 큰 소득 증가율로 반영되지 않았다. 모수가 크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분배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다소 개선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원 수별로 나눈 가처분소득을 1분위와 5분위 대비로 비교한다. 수치가 오르면 분배의 악화를, 수치가 내리면 분배의 개선을 의미한다.
2분기 중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23배였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1분위보다 4.23배 많다는 의미다. 이는 지난해 2분기 4.58배보다 0.35배 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재난지원금 효과를 없애고 시장소득(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이전소득) 기준 5분위 배율을 본다면 올해 2분기 8.42배로, 1년 전인 7.04배보다 크게 올랐다.
이는 정부가 코로나19 사태에 취약한 빈곤층 가구의 몰락을 재난지원금으로 막았다고 풀이할 수 있다. 2분기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77만7000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8.9% 증가했다. 반면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03만8000원으로 2.6% 늘어나는데 그쳤다.
하위 20%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상위 20% 가구보다 3.4배 높았다. 이 또한 긴급재난지원금 효과로 분석된다. 소득 증가율로 따지면 소득 수준이 낮아 모수가 낮은 하위 계층에서 증가율이 더 높게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열고 “역대급 고용·실물경제 충격 속에서도 분배지표가 개선된 데에는 정부의 과감하고 신속한 정책 대응이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