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내년 5월 예정됐던 8차 노동당대회를 1월 조기 개최키로 했다. 신임 미국 대통령 취임식이 열린 직후 당대회를 열고 대내외 정책을 재정비하겠다는 뜻이다. 대북 제재의 장기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수해 3중고로 올해 경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고 인정한 북한은 새로운 미 행정부 출범 직후 정책 목표를 재설정할 것으로 관측된다.
조선중앙통신은 20일 당 전원회의을 통해 내년 1월 8차 노동당대회를 개최키로 했다고 밝혔다. 당대회는 5년마다 개최된다. 마지막 당대회가 2016년 5월이었던 만큼 내년 5월 개최가 예상됐지만 이를 4개월 앞당긴 것이다. 전문가들은 북한 내부적으로 당대회를 앞당길 만한 사정이 없는 만큼 미 대선을 겨냥한 결정으로 해석한다. 미 대선은 오는 11월 실시되고, 내년 1월에 대통령 취임식이 개최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할 경우 북한은 제재 완화를 타진하기 위해 다시 북·미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승리한다면 북한도 모든 대미 대화 기조를 원점에서 재검토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오바마 행정부와 마찬가지로 전략적 인내를 택한다면 북한도 대대적인 정책 변화가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벌어진 경제난은 북한의 정책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전원회의 결정서에서 북한은 “혹독한 대내외 정세가 지속되고 예상치 않았던 도전들이 겹쳐드는 데 맞게 경제사업을 개선하지 못해 계획됐던 국가 경제의 장성(성장) 목표들이 심히 미진되고 인민 생활이 뚜렷하게 향상되지 못하는 결과도 빚어졌다”고 자인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도 전원회의 연설에서 “올해 여러 측면에서 예상치 못했던 불가피한 도전에 직면한 주·객관적 환경”을 언급하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