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부정적 전망을 내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사태가 경제에 큰 부담을 줄 것이라고 했다.
연준의 지난달 28~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19일(현지시간) 공개됐다. 회의에서 연준 의원들은 “현재 진행 중인 공중보건 위기가 경제활동, 고용, 물가를 단기적으로 무겁게 짓누를 것”이라며 “중기적인 경제 전망도 상당히 위험하다”고 했다.
위원들은 최근 개인 소비 지출이 반등함을 들며 “이와 달리 기업 부문에서는 최근 몇달 동안 개선이 덜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이어 각자 관할 구역 내 기업들이 보기드물 정도로 높은 수준의 불확실성과 위험요소를 보인다고 전했다.
고용 부문에서 지난 5∼6월 나타난 강한 반등세가 향후 느려질 것 같다는 전망이 우세했다. 기업활동 재개 여부가 이를 판가름 할 것이라는 설명을 보탰다. 앞으로도 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한 추가 재정지원이 필요하다는 데는 입을 모았다.
다만 6월 FOMC에서 향후 금리 향배에 대한 지침(가이던스) 제공 필요성을 논의했던 연준은 7월 회의에서는 한발 물러선 모습을 보였다. 연준은 “통화정책 전망과 관련, 다수 참석자는 어느 시점에는 기준금리 목표 범위의 경로를 더욱 명확하게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데 주목했다”고만 밝혔다.
일각에서 거론됐던 '일드캡'(Yield Cap)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우세했다. 일드캡은 채권금리 상한선을 설정하고 그 이상으로 금리가 오르면 무한대로 채권을 사들여 금리를 떨어뜨리는 정책이다. 연준은 “참석자 대부분은 일드캡이 현재 여건에서 별로 대단하지 않은 수준의 혜택을 제공할 것 같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