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탄소중립 도시’ 구축에 본격 나선다. 환경부는 한국환경공단 등 산하기관과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추진을 위한 지원단을 구성한다고 19일 밝혔다.
스마트 그린도시는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도시의 환경 현안을 진단하고 친환경 도시로 탈바꿈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환경부는 탄소중립 도시 등 녹색전환을 목표로 우수한 사업계획서를 제안한 25개 도시를 선정할 계획이다. 공모를 거쳐 25개 도시가 최종 선정되면 내년부터 2년 동안 각 도시에 사업비용(보조율 약 60%)을 지원할 방침이다. 환경공단은 대기·자원·기후 등 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물과 환경기술 등의 난제 극복을 뒷받침한다.
환경부는 다음 달 전문가들로 ‘스마트 그린도시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해 탄소중립 도시 모델과 이를 확산할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탄소중립 도시 구축은 해외에서도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덴마크 코펜하겐시는 2025년까지 탄소중립 도시로 탈바꿈해 세계 최초 타이틀을 거머쥐겠다고 밝혔다. 자전거 이용률을 기존보다 50%까지 올리고 재생에너지 설비를 확충하는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호주 애들레이드와 멜버른, 캐나다 밴쿠버 등도 이미 수년 전부터 탄소중립 도시로 전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병화 환경부 정책기획관은 “기후변화에 대한 위기는 이제 우리 눈앞에 다가왔다”며 “탄소중립 사회 시작은 국민 91%가 거주하는 도시의 체질 개선에서 비롯돼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