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면 등교 백지화… 유은혜 “학생·교직원 확산세 무섭다”

입력 2020-08-19 18:14

비수도권 지역 교육청들이 추진했던 2학기 전면 등교 계획이 백지화됐다. 학생·교직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환진자가 급증하면서 등교를 중단하고 원격 수업으로 전환한 학교가 700곳에 육박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19일 전국 17개 시·도교육감과 영상회의를 갖고 학교 밀집도를 낮추기로 합의했다. 수도권 외 지역도 다음 달 11일까지 전체 학생의 3분의 2만 등교시키기로 했다. 다만 대구는 이번 주 학교별로 탄력적으로 학사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되 24일부터는 다른 지역들과 보조를 맞추기로 했다. 당초 비수도권 일부 시·도교육청들은 학습 격차 확대를 이유로 전면 등교 방침을 고수했었다.

시·도교육청들은 지자체와 협의해 관내 대형학원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앞서 정부가 300인 이상 대학학원에 집합금지 명령을 내렸는데 이를 이행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이다. 300인 미만 학원에 대해서는 방역수칙 준수 여부를 들여다본다.

학생·교직원 코로나19 확진자는 급증 추세다. 등교 수업이 시작된 지난 5월 20일 이후 학생 160명, 교직원 30명이 확진됐다. 수도권발(發) 재확산이 본격화된 지난 11일부터 18일까지 학생·교직원 96명(50.2%)이 확진됐다. 유 부총리는 “8월 11일 이후 학생과 교직원 사이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는 속도가 무서운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원격 수업으로 전환한 학교는 전국 5개 시·도 689개교로 집계됐다(19일 오전 10시 기준). 부천 쿠팡물류센터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지난 5월29일 830개교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