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코로나19 재확산, 무더위쉼터 대책은 지역마다 달라

입력 2020-08-19 17:44
2일 오전 광주 남구 푸른길공원 한 정자에서 노인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되자, 지방자치단체들이 무더위쉼터 운영 여부를 두고 각기 다른 대응책을 마련했다.

서울시와 인천시는 19일 보도자료를 통해 폭염을 대비해 무더위쉼터를 확대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편, 경기도 안산시와 안양시는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무더위쉼터를 줄이기로 했다.

서울시는 기존 주민센터 등 관공서에 더해 대형 체육관, 숙박시설(안전숙소), 야외 무더위쉼터 등으로 무더위쉼터 유형을 다양화했다. 쉼터 내부에 텐트를 설치해 이용자가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을 준수하면서 이용할 수 있다.

인천시도 폭염 대책 전담팀을 꾸려 무더위 대응에 나섰다. 은행 93개 지점, 행정복지센터 129곳, 야외 쉼터(정자, 교량 하부, 공원 등) 146곳을 무더위쉼터로 지정했다. 대신 그동안 무더위쉼터로 쓰였던 경로당은 운영을 잠정 중단한다. 고령층의 코로나19 감염이 우려되는 탓이다.

반면, 경기도 안산시는 무더위쉼터 운영을 중단한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주춤하며 지난 3일 운영을 재개했지만, 확진자 수가 빠르게 늘며 다시 문을 닫기로 했다. 경기도 안양시도 상황이 비슷하다. 경로당 96곳을 무더위쉼터로 지정했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두드러지며 모두 문을 닫았다. 지자체는 폭염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무더위쉼터 대안을 고민 중이다.

지역별 무더위쉼터 위치는 국민재난안전포털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남명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