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지도부가 수해 현장에 급파돼 피해 복구 상황을 점검했다. 노동당 창건 75주년(10월 10일)까지 복구 사업을 끝마치라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에 따른 행보다. 그러면서도 북한은 “어떤 외부 지원도 받지 않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노동신문은 19일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권력서열 3위)과 김덕훈 신임 내각 총리가 각각 강원도와 황해북도 수해 현장을 찾았다고 보도했다. 두 지역 모두 최근 내린 비로 큰 피해를 입었다. 김 총리가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으로 방문한 황해북도의 경우 여의도 2배 면적의 농경지가 물에 잠기거나 주택 179동이 붕괴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부위원장과 김 총리는 김 위원장 지시에 따라 수해 현장에 급파돼 조속한 복구를 촉구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지난 13일 노동당 제7기 16차 정치국회의에서 당 창건일까지 수해 복구를 마칠 것을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당 창건일에 공표할 성과로 수해 극복을 내세울 가능성이 크다.
북한은 상당한 폭우 피해를 입고도 남측이나 유엔의 지원은 거부한 상태다. 김 위원장은 13일 회의에서 수해 복구와 관련해선 “어떤 외부 지원도 허용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노동신문도 19일 논설에서 “사회주의 강국 건설은 갖은 압박과 비방, 유혹에도 끄떡하지 않는 신념의 강자만이 끝까지 추진할 수 있는 의지전”이라며 “정세 완화나 외부의 원조에 대한 사소한 미련도 배격하고 자력부강, 자력번영의 기치를 더 높이 추켜(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와 코로나19에 수해까지 ‘삼중고’를 겪고 있으면서도 ‘자력갱생을 통한 정면돌파’ 노선에는 변함이 없다는 점을 주민들에게 각인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