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확산에 교육 당국 긴장… 대입 관리도 비상

입력 2020-08-18 18:11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하자 2학기 개학을 준비 중인 교육 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전면 등교의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언급한 뒤 교육부는 시·도교육청들과 대책을 논의하고, 대학입시 담당자들도 대입이 불가능할 때를 대비한 ‘플랜B’를 점검하며 부산한 움직임을 보였다.

교육부는 19일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전국 시·도교육감들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에 따른 후속조치’를 논의한다고 18일 밝혔다. 유 부총리가 회의를 주재하고 교육감 17명이 전원 참석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2학기 학교 방역 대책과 교육 격차 해소 방안을 논의하고 교육청들의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에 따라 이날부터 수도권 학교 밀집도 최소화 조치를 강화해 시행하기로 했다. 서울·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초·중학교는 9월 개학 이후 2주가 지난 9월 11일까지 교내 밀집도를 전체 학생의 3분의 1 이하(고등학교는 3분의 2)로 강화해야 한다. 기존 조치는 3분의 2 유지 권장이었다. 서울·경기와 동일한 생활권인 인천도 같은 수준의 조치를 시행한다.

학교들이 속속 여름방학을 마치고 문을 여는 시기에 학생과 교직원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학부모들의 불안감은 이전보다 더 큰 상황이다.

대입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다. 유 부총리는 “수능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상황이 녹록치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교육부는 앞서 코로나19 수능 대책을 발표한 상태다. 코로나19 확진 학생나 자가격리 수험생 등도 별도 공간에서 시험을 치르는 방안을 내놨다. 그러나 확진자 규모가 10명 안팎인 상황에서 내놓은 대책이었다. 9~10월에도 코로나19가 올해 초처럼 확산되면 최악의 경우 대입 일정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재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말을 아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