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국회도 초비상이 걸렸다. 여야는 주요 일정을 비대면으로 전환하거나 참석 인원을 제한하는 등 조치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은 8월 임시국회 개원에 따라 진행할 예정이던 의원총회를 연기했다. 대신 의원단 온라인 단체 채팅방에서 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원내대책회의 언론 취재도 풀단을 구성해 소수 인원만 참석하도록 했다. 풀(Pool)은 취재가 제한된 환경에서 일부 언론사만 취재해 내용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19일로 예정됐던 김태년 원내대표 기자간담회도 잠정 연기했다. 박성준 원내대변인은 “현 시점에서 100여명이 참석하는 기자간담회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새 지도부를 뽑는 8·29 전당대회 개최에도 비상이 걸렸다. 서울 잠실 올림픽체조경기장 대신 국회로 자리를 옮겨 진행하는 방안, 전면 비대면으로 개최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관련 사항은 19일 전당대회준비위원회 회의를 거쳐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김부겸 전 의원 캠프 사무실도 잠정 폐쇄됐다. 같은 층에 있는 극우단체 사무실에 코로나19 접촉자가 방문한 정황 탓이다.
통합당도 이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의 대구 방문 일정을 축소 조정했다. 당초 대구 엑스코에서 지방의원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릴 예정이었던 김 위원장의 특별 강연을 취소하고 유튜브 생중계로 대체했다. 19일 지도부가 광주에 방문하는 일정에서도 동행 인원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국회도 코로나19 관련 예방조치를 강화·시행하기로 했다. 국회도서관 등 국회 시설을 휴관하고, 각 상임위 회의장 내 방역 조치도 강화된다. 정부 측 참석자에 대해서는 참석 명단을 사전에 제출해 등록된 인원만 청사 출입을 허용하고, 상임위 취재는 원칙적으로 풀기자단을 운영하는 식이다.
이에 더해 의원회관 회의실·세미나실은 참석자를 50명 이내로 제한하고, 소규모 간담회실에서는 좌석 수 대비 50%만 참석하도록 했다. 19일부터 상임위원회 회의와 마찬가지로 명단제를 운영해 출입 관리에 활용할 계획이다. 박병석 국회의장은 여야 의원 300명에게 친전을 보내 방역 지침을 준수해줄 것을 당부했다.
국회는 원격 영상회의 방식 도입과 관련해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실무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관련 예산은 이미 3차 추가경정예산안(4억5000만원)에 반영돼 있으며, 국회법 개정 등을 거쳐 올 정기회 중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원격 영상회의 시스템은 오는 10월 정도에 구축이 가능하다는 게 사무처의 설명이다.
신재희 심희정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