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진안군 용담댐 방류로 수해를 입은 충북 영동·옥천군, 충남 금산군, 전북 무주군이 범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피해 보상 등 공동 대응에 나섰다.
영동·옥천·금산·무주군은 18일 영동군청에서 용담댐 방류로 침수 피해를 본 하류지역 주민들에 대한 보상과 제도적 지원책 마련을 촉구하는 범대책위 출범식을 가졌다.
출범식에는 박세복 영동군수와 김재종 옥천군수, 문정우 금산군수, 황인홍 무주군수, 이들지역의 군의회 의장이 참석했다. 위원장은 박세복 영동군수가 맡았다. 대책위는 이들 지역 군수와 군의회 의장 등 8명으로 구성됐다.
이들 지자체는 공동 입장문을 통해 “이번 수해는 댐 방류량을 사전에 탄력적으로 조절하지 않아 발생한 인위적 재난”이라며 “홍수기가 시작된 6월 21일부터 7월 30일까지 최저수위 미만으로 댐 저수율을 유지하다가 7월 31일 0시부터 8월 8일 수해가 난 당일까지 제한수위를 초과해 홍수조절에 실패한 게 피해를 키운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수자원공사는 용담댐 홍수조절 실패로 야기된 재난에 대해 공식 책임 표명과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며 “수재민 지원과 배상은 물론 피해 원인 규명과 댐 방류체계 개선 등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지자체는 입장문을 환경부와 수자원공사에 전달했다. 수해를 입은 지자체들은 범대위를 중심으로 수재민들의 생활안정과 권리찾기에 나선다. 막대한 피해를 본 주민들의 생활 안정과 신속한 복구를 위해 재난특별지역 선정 등 공동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수재민들은 오는 19일 한국수자원공사 금강유역본부 용담지사와 금강홍수통제소를 찾아 피해보상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 예정이다.
박 군수는 “지역민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고 합리적인 대책이 마련될 수 있도록 주민들과 함께 위기를 풀어가겠다”며 “정부의 실태 조사 결과에 따라 소송에 나설 수도 있다”고 말했다.
수공 용담지사는 지난 7일 오후 5시 댐 방류량을 초당 690t에서 8일 낮 12시 초당 2900t으로 늘려 영동·옥천·무주·금산 지역 주택 171채와 농경지 754㏊가 물에 잠겼다. 도로, 상하수도 침수 등 공공시설 28곳도 침수 피해를 봤다. 이번 수해로 4개군 459가구 719명이 대피하고, 414가구(644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영동=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