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혁명 발전과 전투력 강화를 위한 노동당 전원회의를 소집했다. 김 위원장은 수해 피해와 코로나19 사태 관련 대응책 마련을 적극 주문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노동당 제7기 6차 전원회의를 19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이후 8개월 만에 열리는 회의다. 조선중앙통신은 회의 소집 목적에 대해 “우리 혁명 발전과 당의 전투력 강화에서 중대한 의의를 갖는 문제를 토의·결정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구체적은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노동당 전원회의는 당 중앙위원과 후보위원이 모두 참석해 당의 주요 정책노선을 논의하는 최상위급 의사결정기구다.
이번 회의에서는 수해 피해 복구와 코로나19 방역 대책이 집중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김 위원장은 최근 주재한 노동당 정치국 및 정무국 회의에서 수해 피해 상황과 코로나19 문제를 주로 언급해 왔다. 특히 최근 북한 전역에 내린 집중호우로 여의도 134배 면적의 농경지가 피해를 입는 등 수해 피해가 큰 만큼 조속한 복구 대책 마련을 주문할 가능성이 크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코로나19 사태와 수해 피해가 겹치면서 노동당 창건 75주년 때 주민들에게 선보일 이렇다 할 성과가 없는 상황”이라며 “수해 피해 복구를 최대 성과로 포장해 노동당 창건 75주년에 선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이 노동당 중앙위원회에 신설키로 결정한 ‘새로운 부서’를 이번 회의에서 공개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대남·대미 메시지 발신 여부도 관전 포인트다. 한·미가 이날부터 10일간 연합군사훈련에 돌입한 만큼 이와 관련된 언급을 할 수도 있다. 북한은 한·미 연합군사훈련에 대한 당국 차원의 비난을 내놓지 않고 있다. 지난 6월 김 위원장이 보류를 결정한 대남 군사행동계획 관련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다만 김 위원장이 도발적인 언사로 한·미를 자극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홍 실장은 “국내적으로 어려운 김 위원장이 무리하게 판을 흔들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 사태와 수해 피해로 경제난이 가중된 만큼 외부로 전선을 확대하지 않고 내치에 집중할 것이란 얘기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