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강력 봉쇄조치 이후 예상되는 취업 현황을 분석했다. 취업자 3명 중 1명꼴로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어렵다는 분석이었다. 한은 조사국은 18일 ‘코로나19에 대한 고용취약성 측정 및 평가’ 보고서(BOK 이슈노트)에서 이렇게 밝혔다.
한은은 일자리를 비(非)필수·비(非)재택근무·고(高)대면접촉 등 3가지로 분류했다. 이들 일자리는 전체 취업자의 42%, 74%, 55%를 각각 차지했다. 이어 한은은 “감염병 확산으로 봉쇄조치나 사회적 거리두기를 엄격하게 시행하면 필수직이 아니면서 재택근무가 어려운 일자리는 단기적으로 실업 위험에 크게 노출된다”고 진단했다.
이어 한은은 “비필수직이면서 재택근무가 어려운 일자리는 전체 취업자의 35%를 차지한다”며 “강력한 봉쇄조치를 했을 때 취업자 3명 중 1명은 근무시간 단축이나 일시 휴직 등으로 정상적 경제활동이 어렵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는 전체 취업자의 46%를 차지한다. 이들 일자리는 당장은 아니더라도 장기적으로 영향을 받고 긴 시간이 지나도 회복이 어려울 수 있다. 한은은 또 지난 3∼6월 감소한 취업자 대부분이 취약 일자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다.
한은은 취업자가 100명 줄었을 때 비필수 일자리에서는 106명이 감소했고, 오히려 필수직 일자리에서 6명이 늘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은은 “비필수 일자리가 많이 감소함은 국내에서 봉쇄조치가 없었는데도 경제주체들이 자발적으로 봉쇄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고용회복 과정에서 장기적으로 감염병에 취약한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의 고용 부진이 이어지면서 산업별·직업별 고용 재조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 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