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여야 대표 회담을 추진하려 했으나 미래통합당이 거부해 무산됐다는 청와대의 발표에 통합당은 “청와대는 회담을 공식 제안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통합당 김은혜 대변인은 17일 논평을 통해 “빈말로 지나가듯 언저리에 던져놓고 마치 저희가 거부해서 성사가 안 된 것처럼 떠넘기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지금까지 문 대통령의 여야 회동에서 국민 삶이 나아진 적이 있느냐”며 “단 한 번도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21대 국회 들어서서 법사위원장 강탈, 의회 독식 등 청와대가 하고 싶은 대로 다 하더니 이제 와서 돌변해 ‘회담하자’ 팔을 비튼다”며 “임으로 밀어붙이는 데 익숙해지시더니 대화마저 강매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면 전환 쇼’에 무턱대고 따르라 하면 저희는 따를 수 없다. 무례하다”고 일갈했다.
앞서 최재성 정무수석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지난 13일 제가 신임 정무수석으로서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대위원장을 예방하는 자리에서 재차 대통령의 당 대표 초청 의사를 밝혔다”며 “그러나 통합당은 어제 21일로 제안했던 일정이 불가함을 밝혀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8월 회동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집중호우 피해 대책 등을 논의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여야 대표와의 만남을 재추진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최 수석은 “문 대통령의 여야 정당대표 대화 제안은 언제든 열려있다”며 “코로나 확산, 수해 피해, 경제 위기 등 국가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정치권이 함께 힘과 지혜를 모아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