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단념자 58만명 중 절반은 20·30…집계 이래 최다

입력 2020-08-16 07:22
연합뉴스

일할 능력과 의지가 있지만 노동시장 문제로 일자리를 구하는 것을 포기한 이른바 구직단념자가 7월 기준으로 58만명을 기록해했다. 이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수치다. 58만명의 구직단념자 둥 대학졸업한 20대가 19만5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도 9만명을 넘어섰다. 구직단념자 58만명 중 20·30 세대가 절반 가까이 차지한다.

16일 통계청 고용동향에 따르면 7월 구직단념자는 58만명으로 지난해보다 5만5000명 증가했다. 이는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4년 이후 최다 기록이다. 7월 구직단념자는 2014년(45만5000명), 2015년(48만6000명), 2016년(44만7000명), 2017년(48만3000명)에 40만명대를 유지하다가 2018년(54만6000명), 2019년(52만6000명), 2020년(58만명)에 50만명대로 늘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가 19만5000명으로 33.7%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60대 이상이 12만5000명으로 21.5%를 차지했다. 이후 30대가 9만3000명으로 16.1%, 50대가 8만9000명인 15.4%, 40대가 7만1000명인 12.2% 순이었다. 20대와 30대를 합하면 구직단념자는 절반에 가까운 49.8%에 이른다.

교육 정도별로는 대학교(4년제 대학 포함) 졸업자가 22만명으로 38%를 차지해 최다였다. 고등학교 졸업자가 18만명인 31%, 전문대(초급대, 2‧3년제 대학 포함) 졸업자가 9만4000명인 16.2%, 중학교 졸업자가 3만9000명인 6.8%, 초등학교 졸업자가 3만3000명인 5.8%를 차지했다.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도 구직을 단념한 사람도 8000명(1.4%)이나 됐다.

구직을 단념한 이유로는 ‘이전에 찾아보았지만 일거리가 없었기 때문에’를 꼽은 사람이 22만명(37.8%)으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는 ‘원하는 임금 수준이나 근로조건이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15만4000명·26.6%),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거리가 없을 것 같아서’(6만8000명·11.7%), ‘교육, 기술, 경험이 부족해서’(6만6000명·11.4%) 등이었다.

구직활동 계획 없이 그냥 쉰 ‘쉬었음’ 인구도 7월 기준 통계 작성 후 최다로 치솟았다. 지난달 ‘쉬었음’ 인구는 231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22만5000명 늘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