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국립묘지에 안치된 친일 인사 묘를 강제 이전할 수 있도록 하는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 개정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미래통합당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배준영 통합당 대변인은 14일 논평을 통해 “민주당은 부관참시(剖棺斬屍)의 정치를 멈추라”면서 “민주당이 편 가르기와 법 만능주의에서 헤어나질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배 대변인은 “고(故) 백선엽 장군 묘비를 세워두고 ‘국립묘지에 원수가 있는데 유공자, 애국 선열 지사가 저승에 가서 좌정할 수 있겠냐’는 등 선동도 서슴지 않았다”며 “모든 사람은 공과가 있다. 하물며 과실이 있다 하더라도 무덤을 파내고 모욕을 주는 보복 정치는 반인륜적”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그동안 여권은 백 장군의 업적보다 일제강점기 만주군 간도특설대에서 복무했다는 이력만을 부각하며 편협한 시각을 드러냈다”면서 “과거의 터널로 회귀하는 ‘U턴의 정치’를 즉각 멈춰야 한다”고 했다.
같은당 김기현 의원도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또 하나의 악법이 만들어질 판”이라며 “여당 의원들의 발언을 보면 박정희 전 대통령도 파묘할 기세”라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집권 여당이 자꾸 국민의 실생활과는 거리가 먼 과거사 문제에 매달리는 모습이 이젠 처량해 보인다”며 “조선 시대에도 무용(無用)한 과거사 뒤집기의 사화(士禍)로 날을 지새우다 결국 망한 역사의 교훈을 배우지 못했나 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75년 광복절을 맞아 국민 대통합 메시지를 내놓지 못할망정 정치적 상대방에 대한 파묘를 운운하냐”며 “국민 분열과 혼란만 가중할 파묘법 추진을 중단하지 않으면 역사는 작금의 시대를 ‘망국의 폭력이 난무한 시대’로 기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통합당 서울 송파병 당협위원장인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국가유공자임에도 친일논란을 이유로 무덤을 파내겠다는 주장은 왕조시대 부관참시와 같은 반인권적 발상이고 역사적 적개심을 내세워 현재의 위기를 모면하려는 정치적 동원”이라며 “대한민국 국가유공자를 친일이라는 이유로, 그것도 국가보훈처가 법에 따라 안장한 분을 없앤다면 현재의 자의적 기준으로 언제까지 역사를 재단할 것이냐”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여당에서 존경하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야말로 대한민국의 건국과 전쟁과 근대화와 민주화의 역사를 자랑스럽게 있는 그대로 계승하고 존중했다”며 “본인을 죽이려 하고 사형을 선고했던 박정희와 전두환을 피해자 처지에서 용서하고 화해했다. 그래서 김대중 대통령의 묘는 박정희 대통령 묘와 함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독립운동만큼이나 대한민국의 건국과 6.25의 승리와 근대화의 역사는 자랑스럽고 지금의 것”이며 “당신들이 구가하고 있는 풍요와 자유가 공산주의가 아닌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이기 때문에 가능함을 잊지 말고 감사하라”고 했다.
그는 “정책적으로 무능한 정부가, 민심으로부터 이반된 정부가 외부의 적, 과거의 적을 억지로 만들어 대중의 분노와 적개심을 동원하곤 한다”며 “민주당의 파묘법 추진은, 대한민국의 건국과 호국의 가치를 훼손하는 몰역사적 행위이고 현재의 정책 무능과 민심이반을 과거 청산의 적개심 동원으로 모면하려는 정치적 장사에 불과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자신의 페북에 “이제는 제발 미래로 가자”며 “국민 눈에서 피눈물 나는 이 어려운 상황에 꼭 이래야 하냐”고 했다.
오 전 시장은 “우리 국민은 민주당과 이 정부 내각에 젊은 시절 주체사상에 심취하여 수백만이 죽고 다친 6.25를 일으킨 김일성을 유일신처럼 찬양하며 대한민국 정체성을 부인하던 인사들이 많다는 사실을 잘 안다”면서 “그런데도, 그들에게 공직에 진출할 기회를 주고, 나라를 통치할 기회까지 줬다”고 주장했다.
이어 “민주당 논리대로라면 그 인사들도 나라를 위해 아무리 목숨 바쳐 헌신 봉사해도 국립묘지에 못 간다”면서 “청년 시절 허물이 있다고 무덤을 파내나. 신중하기 바란다”고 일갈했다.
그는 “경제 살릴 능력은 없어도, 마음만 먹으면 국민의 마음을 한곳에 모을 수는 있다”며 “과거사 들먹여 국민선동 갈등유발 하지 말고, 당신들이 힘들게 만든 국민의 고통 조금이라도 덜 수 있도록 민생에 열중하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세계는 미래로 뛰는데, 대한민국만 100년 전이다. 이제 좀 미래로 가자”고 촉구했다.
최성훈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