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폭등 악재로 치명타를 입은 더불어민주당이 미래통합당에 결국 지지율을 역전당했다.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지기 시작한 2016년 10월 이후 처음이다. 20대 지지율도 통합당이 추월했고, 민주당 핵심 지지층인 여성 지지율은 통합당과 간격을 바짝 좁혔다. 민주당 텃밭인 호남 지지율도 40%대로 주저앉았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TBS 의뢰로 10~12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5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민주당 지지율은 33.4%, 미래통합당 지지율은 36.5%로 집계됐다. 오차범위 내인 3.1% 포인트 앞선 것이지만 창당 이후 처음이자, 국정농단 국면 이후 4년 만의 역전이다.
지지율 역전의 주 요인은 20대와 남성이 민주당에 등을 돌린 탓이다. 20대 지지율은 총선 이후 점점 격차를 좁히다 통합당(34.7%)이 민주당(28.6%)을 앞섰다. 남성 지지율도 지난주 역전당한 뒤 통합당(40.3%), 민주당(33.1%) 으로 집계됐다.
민주당의 핵심 지지 기반인 여성의 지지율은 점점 하락해 민주당(33.7%), 통합당(32.7%)를 기록하며 통합당이 1.0%포인트 차이로 따라붙었다. 60%대 안팎이던 호남 지역 지지율은 47.8%대로 추락했다. 지난주 대비 11.5% 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이남자·이여자(20대 남성과 여성)’는 물론 텃밭인 호남에서도 지지율이 크게 떨어졌다.
통합당은 특히 중도·무당층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중도층에서 2.2% 포인트 상승한 39.6%를 기록했다. 이념성향을 모름 또는 무응답으로 답한 무당층에선 10.3% 포인트 올라 37.0%를 찍었다(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여기엔 부동산을 둘러싼 각종 논란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13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제일 큰 영향은 부동산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 부동산 정책으로 인한 고통과 어려움이 큰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부동산 문제를 꼽았다. 리얼미터 관계자는 “가장 큰 문제는 부동산 이슈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고 여진이 남아있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통합당의 호남 수해현장 방문, 정강정책 초안에 5·18정신 삽입, 공격적이고 선제적인 추가경정예산안 제안, 국민통합 메시지 등을 통해서 중도층의 변화를 이끌었다”고 말했다.
박상병 인하대 정책대학원 초빙교수는 “다주택과 관련한 청와대 참모진들의 부적절한 언행이 문재인정부와 집권 여당에 대한 신뢰 하락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당 내에선 당혹스런 분위기, 크게 의식하지 않는다는 기류가 혼재한다. 한 중진 의원은 “무조건 당이 반성해야 한다. 오만한 태도를 보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다른 의원도 “이렇게 단시간 내에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이나 했겠느냐”고 말했다. 반면 다른 의원은 “부동산대책이 효과를 보이기 시작하면 회복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사회 갈등을 감수하고라도 논란이 될 법안을 추진하겠다는 입장도 있다. 송영길 의원 등은 이날 ‘친일파 파묘법’ 공청회를 열었다. 공청회에 참석한 강창일 전 의원은 “극심한 사회 갈등을 유발하겠지만 100% 지지를 받는 법안은 없다”고 말했다.
민주당에겐 ‘추미애 리스크’도 악재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을 탄핵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20만명이 넘게 참여해 공식 답변 요건을 채웠다. 지난 3월 검찰 인사 단행 당시 추 장관을 해임해달라는 청원에 이어 두 번째다.
이가현 김용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