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스, ‘급진 좌파’ 꼬리표…바이든에 득될까, 독될까

입력 2020-08-13 06:47 수정 2020-08-13 10:13
민주당 부통령 후보 해리스, ‘급진 좌파’ 공격받아
‘수천만 미국인에 매달 236만원 주는’ 법안 찬성
해리스 극좌 경제정책, 바이든에 부담될 수도
“정책 조율하면 이념 차이 좁혀질 것” 반론도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과 부통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이 12일(현지시간) 검은색 마스크를 쓴 모습으로 기자회견이 열린 델라웨어주 웰밍턴의 알렉시스 듀퐁 고등학교 체육관에 들어서고 있다. AP뉴시스

미국 민주당의 부통령 후보로 지명된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의 파괴력을 놓고 엇갈린 전망들이 나오고 있다.

여성이면서 유색 인종인 해리스 상원의원 카드가 힘을 받을 경우 민주당 대선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은 미국 대선에서 더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그러나 ‘급진 좌파’라는 꼬리표가 붙은 해리스 상원의원이 화약고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워싱턴포스트(WP)는 12일(현지시간) 해리스 상원의원이 ‘극좌(far left)’라는 우려를 받는 경제정책을 주장해 바이든 전 부통령의 선거운동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WP는 해리스 상원의원이 지난 5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촉발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목적에서 ‘좌파 성향으로 기운(left-leaning)’ 두 건의 법률안에 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들 법률안은 아직 미 의회를 통과하지 못한 상태다. 그러나 바이든 전 부통령의 신중한 접근법과 대비를 이룬다고 WP는 전했다.

해리스가 찬성한 법안 중 하나는 코로나19가 피해를 입히는 기간 동안 수천만명의 미국인들에게 매달 2000달러(236만원)을 수표로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다른 법안은 ‘구호 법안(Relief Act)’으로, 세입자가 집세를 내지 못할 경우에 퇴거, 압류, 월세 인상, 전기·수도 등의 차단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해리스가 찬성한 법안들의 내용은 바이든 전 부통령의 입장과는 다르다고 WP는 지적했다. 바이든은 노동자 가정 등에 현금 지원을 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액수는 거론하지 않았다.

바이든은 또 “어떤 세입자들도 자기 집에서 퇴거당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지만 이를 법률로 명문화할 뜻은 내비치지 않았다.

미국 민주당의 부통령 후보로 지명된 카멀라 해리스 상원의원. AP뉴시스

보스턴대학 정치학과의 데이비드 홉킨스 교수는 WP에 “캘리포니아주 민주당원들은 매우 진보적인 입장을 띠고 있다”면서 “해리스는 또 바이든에 비해 정치 경력이 길지 않다”고 말했다. 해리스가 진보 색채가 강한 캘리포니아주를 지역구로 둔 초선 상원의원이기 때문에 급진적으로 보이는 법안에 찬성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해리스의 맞상대인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해리스 지명 소식을 듣고 “바이든과 민주당은 ‘급진 좌파(radical left)’에 장악됐다”면서 색깔론 공세를 펼쳤다.

그러나 이런 우려가 기우라는 반론도 거세다. 바이든과 해리스가 본격적인 정책 조율에 나설 경우 이념적인 간극은 좁혀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월가로 표현되는 미국 금융계도 해리스의 부통령 지명을 반기는 분위기다. JP모건체이스는 해리스의 경제정책을 “대체적으로 중도적인 시각”이라고 평가했다.

해리스는 바이든의 약점을 메울 최고의 카드라는 평가도 있다. 바이든이 77세의 고령·백인 남성이라면, 해리스는 비교적 젊은 50대 중반의 흑인·인도계 혼혈 여성이다. 민주당 내에서는 해리스의 기용으로 진보 성향 유권자들이 ‘바이든·해리스’ 조에 표를 던질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다.

그러나 이번 대선 기간 해리스를 둘러싼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해리스 상원의원이 검사 시절 지나치게 가혹한 태도를 보였으며 경찰의 인종차별적인 과잉 진압 문제에도 소극적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