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경찰이 대규모로 추진되고 있는 오는 15일 광복절 집회 허용 불가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일부 보수단체들은 예정대로 집회를 강행할 방침이어서 충돌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미래통합당은 이 집회에 당 차원의 참여를 하지는 않는다는 계획이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전환한 이후 통합당이 중도층 표심을 겨냥한 외연확대에 나선 데 따른 것이다.
서울시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광복절 집회를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집회 신고를 해놓은 14개 단체에는 지난 11일 취소를 요청했다. 박유미 시 방역통제관은 “만일 예정된 집회를 취소하지 않을 경우 시는 집회금지 명령 등 모든 수단을 통해 집회로 인한 코로나19 확산 위험 차단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자발적 집회취소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엔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현장에서 체포하는 등 엄정한 대응을 할 계획이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주요 집회 장소 주변에 경찰력을 최대한 배치하고, 법 절차에 따라 서울시와 합동으로 현장 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했다.
앞서 전광훈 목사를 주축으로 하는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와 자유연대 등은 15일 정오에 경복궁 인근 사직로 일대에서 ‘8·15 건국절 국민대회’를 열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 탄핵과 박근혜 전 대통령 석방을 주장하는 다른 보수단체들도 집회를 준비하고 있다.
통합당 지도부는 강경 보수층과의 ‘거리두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른바 태극기 세력과 손을 잡는 모습이 연출될 경우 중도층 민심이 등을 돌릴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이는 태극기 집회에 적극적으로 참석했던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진 스탠스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 차원의 광복절 집회 참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다만 김 위원장은 “당원들 스스로가 참여하고 싶으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당 관계자는 “당 지도부의 집회 불참 입장에 변화는 없다”고 전했다.
통합당 일부 의원은 개인 자격으로 집회에 참석할지 여부를 고민 중이다. 한 의원은 “국민의 자유를 서울시가 무슨 수로 막겠는가”라고 말하면서도, 집회 참석 여부에 관해선 “일단 좀 지켜볼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경택 이상헌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