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돌우려 높아진 8·15집회…통합당은 ‘거리두기’

입력 2020-08-12 15:47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과 주호영 원내대표, 이종배 정책위의장이 지난 10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 참석한 모습. 왼쪽부터 주 원내대표, 김 위원장, 이 정책위의장. 연합뉴스

서울시와 경찰이 대규모로 추진되고 있는 오는 15일 광복절 집회 허용 불가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일부 보수단체들은 예정대로 집회를 강행할 방침이어서 충돌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미래통합당은 이 집회에 당 차원의 참여를 하지는 않는다는 계획이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전환한 이후 통합당이 중도층 표심을 겨냥한 외연확대에 나선 데 따른 것이다.

서울시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광복절 집회를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집회 신고를 해놓은 14개 단체에는 지난 11일 취소를 요청했다. 박유미 시 방역통제관은 “만일 예정된 집회를 취소하지 않을 경우 시는 집회금지 명령 등 모든 수단을 통해 집회로 인한 코로나19 확산 위험 차단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자발적 집회취소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엔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현장에서 체포하는 등 엄정한 대응을 할 계획이다. 서울지방경찰청은 “주요 집회 장소 주변에 경찰력을 최대한 배치하고, 법 절차에 따라 서울시와 합동으로 현장 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했다.
집회에서 특정 정당 지지를 호소한 혐의로 기소된 전광훈 목사가 지난 11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진행된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서 전광훈 목사를 주축으로 하는 대한민국바로세우기국민운동본부와 자유연대 등은 15일 정오에 경복궁 인근 사직로 일대에서 ‘8·15 건국절 국민대회’를 열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 탄핵과 박근혜 전 대통령 석방을 주장하는 다른 보수단체들도 집회를 준비하고 있다.

통합당 지도부는 강경 보수층과의 ‘거리두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른바 태극기 세력과 손을 잡는 모습이 연출될 경우 중도층 민심이 등을 돌릴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이는 태극기 집회에 적극적으로 참석했던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진 스탠스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전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 차원의 광복절 집회 참여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다만 김 위원장은 “당원들 스스로가 참여하고 싶으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당 관계자는 “당 지도부의 집회 불참 입장에 변화는 없다”고 전했다.

통합당 일부 의원은 개인 자격으로 집회에 참석할지 여부를 고민 중이다. 한 의원은 “국민의 자유를 서울시가 무슨 수로 막겠는가”라고 말하면서도, 집회 참석 여부에 관해선 “일단 좀 지켜볼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경택 이상헌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