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단체 “제방 무너졌는데 4대강 예찬?…각성해야”

입력 2020-08-12 15:35
지난 9일 폭우로 유실됐던 경남 창녕군 이방면 낙동강 제방에서 성토 이음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4대강 보의 홍수 예방 효과를 둘러싼 여야 정치권의 논쟁이 가열되는 가운데 낙동강 인접 지역 환경단체인 낙동강네트워크가 조절 능력이 없는 보를 당장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낙동강네트워크는 12일 미래통합당 경남도당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낙동강 제방 붕괴에도 4대강 사업 예찬하는 미래통합당은 각성하라”고 밝혔다. “미래통합당 의원들이 4대강 사업이 홍수를 예방했다고 주장하지만, 4대강 보는 홍수 조절 능력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4대강 사업을 두고 2013년, 2018년 두 차례 발표된 감사 결과 4대강 보의 홍수 조절 능력은 검증되지 않았다”며 “환경부의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위한 조사평가단 기획위원회는 보를 해체하면 물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수위가 현재 수준보다 낮아져 홍수 예방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고 지적했다.

낙동강네트워크는 지난 9일 집중호우로 불어난 물에 유실된 낙동강 합천창녕보 제방에 대해서도 “제방 붕괴는 합천창녕보 인근 상·하류 수위 차가 심해지면서 물 정체 현상이 일어나 야기됐다”며 보 철거론에 힘을 보탰다.

지난 9일 집중호우로 부산 강서구 서낙동강이 흙탕물로 변해 있다. 연합뉴스

반면 미래통합당 등 야권에서는 합천창녕보 제방 유실은 구조적으로 약했기 때문에 발생한 일로 보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또 4대강 사업 덕분에 되레 이번 폭우·홍수 피해가 줄었다고 말한다. 친이계의 좌장 이재오 전 의원은 지난 11일 페이스북에 “4대강 보는 물 흐름을 방해하는 기능이 없다. 4대강 16개 보를 안 했으면 이번 비에 나라 절반이 물에 잠겼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4대강 보를 둘러싼 논쟁은 정부 합동조사단 조사를 통해 더욱 구체화될 전망이다. 환경부는 이날 기록적인 장마와 폭우에 따른 4대강 보 홍수 조절기능 논란과 관련해 환경부, 국토교통부,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합동 조사단을 구성한다고 밝힌 바 있다.

조사단은 낙동강 합천창녕보 중심으로 제방 유실 실험을 하거나 집중호우 시 시설 대응 능력을 검증할 것으로 보인다. 4대강 사업 대상은 아니지만 큰 피해를 본 섬진강 일대도 조사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