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지난 6일 발생한 의암호 전복 사고와 관련, 강원도 춘천시청과 인공 수초섬 설치‧관리업체 등에 대해 12일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강원지방경찰청과 춘천경찰서 형사들로 구성된 의암호 조난사고 수사전담팀은 11일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이날 오후 1시30분부터 춘천시청 등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압수수색은 의암호 인공 수초섬 설치 및 관리와 관련된 서류, 사고 당일 작업 지시 여부, 사고 발생 전후 상황대처와 관련된 증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이뤄졌다.
압수수색에는 춘천경찰서 형사과장 등 총 25명이 동원됐다. 컴퓨터와 노트북 등 전자정보를 압수하기 위해 디지털포렌식 전문요원 4명도 함께 참여했다. 압수수색은 춘천시 안전총괄과와 환경정책과, 교통환경국장실 등을 비롯해 경기도 안양 인공 수초섬 설치‧관리업체 등 11곳에서 진행됐다.
수사전담팀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증거자료들을 분석하고, CCTV, 차량 블랙박스, 통화내역, 관련자 진술 등을 종합하여 한 점 의혹도 없이 투명하게 사고 경위를 규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는 지난 6일 오전 11시34분쯤 의암댐 상부 500m 지점에서 발생했다. 인공 수초섬 고박 작업에 나선 고무보트와 춘천시청 환경감시선, 경찰정 등 선박 3척이 전복돼 7명이 물에 빠졌다. 현재까지 1명이 구조되고 4명이 숨진 채 발견됐으며, 2명은 실종됐다.
유가족과 실종자 가족들은 춘천시가 작업지시를 내린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그러나 춘천시는 작업지시를 내린 적이 없다는 입장이다.
경찰은 수사전담팀을 꾸려 의암댐 주변 CCTV와 휴대전화, 경찰순찰정 CCTV 등을 토대로 수사를 진행 중이다. 무엇보다 폭우가 쏟아지고 소양댐과 춘천댐, 의암댐 방류가 한창인 위험한 상황에서 사고 선박 3척을 비롯한 다수의 선박이 왜 무리한 고박 작업에 투입됐는지에 수사 초점을 맞추고 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