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드론서 전송된 재난현장 영상 소방·경찰서로”

입력 2020-08-12 08:14

경기도 성남시는 우수한 드론 행정을 활용해 내년 12월까지 ‘재난안전 다중관제시스템’을 구축한다고 12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재난 발생시 해당기관의 좀 더 신속·정확한 의사결정과 구조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재난 발생 때 드론이 즉각 현장으로 출동해 위치, 규모 등의 초기 현장 정보를 성남·분당소방서, 수정·중원·분당 경찰서, 육군 55사단에 3D 입체 영상으로 전송한다.

화재 등 재난 발생 현장으로 먼저 출동하는 드론이 불법 주정차, 교통사고 등의 도로 현황을 확인해 소방차가 최단 거리로 현장에 도착할 수 있게 한다.

또 소방대원, 지휘관, 상황실에 현장 상황을 입체 영상으로 전송해 효과적인 화재 진압 등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시는 내년 12월까지 총 4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다중관제시스템인 비행제어·영상관제·지능형 영상분석 시스템을 시청 4층과 8층에 설치한다.

아울러 송출 영상이 끊기지 않는 초저지연의 LTE, 5G망을 활용한다.

시는 원도심과 신도심의 안전 격차를 줄이기 위해 성남소방서(수정구, 중원구 관할)와 분당소방서에 각각 드론과 비행제어·영상관제 시스템 설치를 지원한다며 사업비 4억원에는 시를 비롯한 7개 기관·기업이 행정안전부가 시행한 ‘2020년 자치단체 협업 지원 사업’ 공모에 선정돼 지원받은 국비 2억원이 포함돼 있다고 했다.

박경우 시 토지정보과장은 “다중관제시스템은 현장 도착 골든타임(7분)을 1분 정도 단축한다”면서 “1분 단축은 재난 현장의 인명피해를 33%, 재산 피해를 60% 각각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성남=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