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청, 인하대 송도 11공구 매매계약 체결 가능

입력 2020-08-11 16:24
11일 오전 인천시의회에서 열린 ‘송도사이언스파크 조성을 위한 대학의 산학협력 방안’ 토론회에서 신규철 평화복지연대 정책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인하대 제공

11일 오전 인천시의회에서 열린 ‘송도사이언스파크 조성을 위한 대학의 산학협력 방안’ 토론회에서 원혜욱 인하대 대외부총장이 발언하고 있다. 인하대 제공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인하대의 송도매립지 11공구 지식기반서비스 용지를 놓고 신경전을 계속하고 있다.

11일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이날 인천시의회에서 개최된 토론회를 계기로 인하대가 11공구 부지에 대한 매입의사를 표명한다면 협약 내용대로 지식기반서비스 용지에 대한 매매계약이 체결될 수 있도록 인하대와 적극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2013년 7월 인천경제청과 인하대는 송도11공구에 지식기반서비스 용지 제공을 명시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면적은 1만5000평, 공급가격은 조성원가의 80%, 감정가의 20% 수준이다. 계약기한은 소유권보존등기 완료 후 6개월 내(소유권보존등기 2016년 10월)이고, 인하대는 글로벌기업연구센터 유치를 노력하는 것으로 돼 있다.

이에 따라 인천경제청은 인하대 측에 지식기반서비스 용지의 토지매매계약을 기한(2017년 4월)내에 매입할 것을 수차례 요청했으나 인하대는 학교재정 상황 등을 이유로 매입의사를 표시하지 않아 현재까지 계약체결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달 8일 인하대는 지식기반서비스 용지 계약 이행에 관한 의견을 요청했다.

이에 경제청은 지난 3일 인하대의 매입의사가 있다면 협약 내용에
따라 부지를 제공할 의향이 있음을 회신했다.

지식기반서비스용지 용도변경과 관련, 2013년 7월 토지매매 계약서 상 제공하기로 한 지식기반서비스용지는 2013년 4월 사업협약 이후 3차례 개발계획 변경을 거쳐 지난해 7월 산업시설 용지로 지정됐다. 2014년 1월 산업시설용지에서 2014년 11월 연구시설용지로 변경된뒤 지난해 7월 산업시설용지로 변경됐다는 것이다.

지난해 7월 해당 부지가 산업시설용지로 변경된 것은 당시 송도 11공구 전체에 대한 도시계획 변경을 추진하는 과정 에서 인하대와 토지매매계약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부지 위치를 확정할 수 없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인천경제청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협약서에 표기된 부지와 인접한 일단의 토지를 지식기반서비스 용지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산업시설용지로 지정했다는 것이다.

만약 인하대와 협의가 이루어져 구체적인 위치가 확정된다면 해당부지에 대해 즉시 개발․실시계획 변경 절차에 착수해 지식기반서비스 용지로의 변경을 추진할 수 있었다는 해명이다.

한편 이날 인천시의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원혜욱 인하대학교 대외부총장은 “인하대학교 송도사이언스파크캠퍼스를 조성하는 데 온 역량을 다 할 것”이라며 “내년 10월이면 토지대금을 납부하게 되는 만큼 의지는 확실하다. 이번 교육부의 4단계 BK21 예비선정결과에서도 나타나듯이 인하대는 바이오, 인공지능 등 미래 첨단융합학문에서 탁월한 연구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송도사이언스파크캠퍼스 조성을 위한 여러 국책사업을 수주하여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이렇게 밑그림을 잘 그리기 위해 지원을 요청한다. 인하대 지원은 인천 지역 사회의 발전이기도 하다.”라고 강조했다.



신규철 인천평화복지연대 정책위원장은 “인하대의 발전이 곧 인천의 발전이다. 인하대의 연구역량과 지역 산·관·학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 지 많은 이야기를 들었다. 인천의 송도바이오클러스터 발전을 위해서는 인하대 송도사이언스파크캠퍼스 조성이 꼭 필요하다. 핵심은 돈 문제이다. 인하대는 내년에 토지대금을 완납한다. 인하대는 캠퍼스 조성에 3천억 원 가량 더 필요한데 인천시의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이는 특정대학에 대한 명분 없는 특혜인가, 인천 발전을 위한 꼭 필요한 투자인가? 인하대 수익용 부지는 20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송도캠퍼스지원협약서를 작성하고 약 1만 평 내외의 부지를 제공하기로 한다. 2010년 엠코테크놀러지 유치를 위해 인하대에 부지 양보를 요청했다. 이때 수익용 부지가 1만평이 1만5천평으로 조금 늘어났다. 그리고 이번에 갑자기 산업용지로 바꾸었다. 이번에도 명분은 바이오클러스터의 확장이다. 인하대는 또 한 번 희생양이 되었다. 인하대가 반발하니 다시 돌려줄까 조롱하고 있다. 이 문제는 한 대학의 문제가 아니라 인천 지역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이 문제는 계약을 누가 지켰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대승적 문제로 인천 발전의 문제로 봐야 한다. 박남춘 시장의 결단이 필요한 사항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세준 인천경제자유구역청 투자유치본부장은 “인하대도 인천의 중요한 일원이다. 오늘 발제한 오픈 이노베이션캠퍼스 정말 좋다. 계획이 잘 실현되었으면 좋겠다. 인하대에 수익용 부지 즉시 제공하겠다. 인하대가 요구한 부지 그대로 제공 할 수 있다. 저희가 협의도 없이 산업용지로 바꿨다는 것은 오해이다. 오늘 내일 중에 보도자료 나가겠지만 2013년도에 협약을 하면서 지식산업서비스용지를 제공하기로 했다. 개발계획이 바뀌면서 지식산업서비스용지를 산업용지로 바꾼 것이다. 실시계획을 변경하면 언제든지 바꿀 수 있다. 1, 2개월 정도 시간을 주면 지금 요청하는 용지는 동일조건, 동일 면적으로 제공 가능하다. 연세대와 비교를 하는 것은 맞지 않다. 2006년에 연세대와 계약했다. 그 당시는 송도가 모양이 갖춰지지 않았을 때이다. 인하대는 2008년부터 협의가 되었다. 연세대와 단순비교는 어렵다. 2013년에 사업 협약서에 따르면 공동협의체를 구성하게 되어 있다. 그걸 구성해서 지금이라도 1만5천평 부지에 대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을 찾아서 좋은 그림을 만들 수 있는 노력하겠다. 같이 협의하겠다.”고 설명했다.



강원모 인천광역시의회 제1부의장은 “최근에 인하대 문제가 언론에 많이 보도되면서 진실게임인양 오고갔다. 제일 중요한 것은 인하대가 할 사업 내용을 제대로 봐야한다. 경제자유구역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경제혁신 패러다임을 바꿔야한다. 학교, 연구기관, 산학협력이 중요한 것은 분명히 맞다. 인하대가 하려는 프로젝트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서 사업이 타당하다면 지금의 협약 이상으로 지원이 검토되어야 한다. 시기와 조건이 다 다르기에 동등할 필요는 없지만 경제자유구역 발전을 위해서 필요하다면 지원해야한다. 경제청이 인하대의 사업을 검토해 보고 이 사업이 경제자유구역에 기여한다면 지금의 지원 조건을 뛰어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다시 바라봐야한다.”고 주장했다.





김희철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 의원은 “집행부와 인하대 협의체를 만들어서 대안이 나와야 할 것이다. 산업위 차원에서 협의체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